
[마이데일리 = 이승길 기자] 넷플릭스 시리즈 '애마'를 연출한 이해영 감독이 작품의 노출 수위에 담긴 고민을 이야기했다. 이해영 감독의 인터뷰가 26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됐다.
' 애마' 는 1980년대 한국을 강타한 에로영화의 탄생 과정 속,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에 가려진 어두운 현실에 용감하게 맞짱 뜨는 톱스타 ‘희란’과 신인 배우 ‘주애’의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다.
이해영 감독은 매 작품마다 독특한 소재와 신선한 이야기, 다채로운 연출로 주목받아 온 인물이다. 이번 작품에서는 1980년을 풍미한 화제작 '애마부인'의 제작 과정을 둘러싼 비하인드와 당시 충무로 영화판의 치열한 경쟁과 욕망, 그리고 시대가 드러낸 야만성과 모순을 그려냈다. 에로영화가 대세가 되던 시대에 강력한 심의 규제 아래 표현의 자유조차 허락되지 않았던 아이러니한 시절을, 그는 현재의 시선으로 새롭게 풀어냈다는 평가다.

이해영 감독은 '애마'의 출발점을 묻는 질문에 20년 전을 꺼내들었다. "첫 줄발은 20년쯤 전이다. 첫 작품을 만들고 난 뒤부터 이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시놉시스를 정리하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당시에는 내가 아는 매체가 영화 뿐이었으니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 이야기를 2시간 짜리로 만들 수는 없겠더라.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매체가 늘어나면서 (시리즈로) 이 작품을 만들 수 있게 됐다"고 털어놨다.
이해영 감독은 "어떻게 보면 20년 전에 떠올렸지만, 20년이 지난 지금이라 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된 것 같다. 넷플릭스라는 매체이기 때문에 만들 수 있는 수위이기도 했던 것 같다. 그런 면에서 '애마'라는 작품이 복을 받은 작품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고백했다.
이어 이해영 감독은 작품에 달렸던 수많은 댓글을 언급했다. "'애마'에 대해 제일 많이 달린 댓글은 '(노출) 나와?', '수위는 어느 정도야?'라는 것이었다. 물론 어느 정도 수위이고 노출이 있을까라는 것에 대한 호기심은 있을 거라고 생각을 했다"며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우리 '애마'의 수위가, 80년대 '애마부인'의 수위 정도라는 것이다. 당시의 영화들은 정부 정책으로 인해서 직접적인 노출을 할 수 없었고, 대사를 통해서 실제 노출처럼 표현되는 시대였다. 지금 그 작품들을 보면 지금의 기준으로는 노출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놀라울 것이다. 나는 이 작품의 수위를 고민할 때 실제 '애마부인' 정도로 맞추려고 했다. 그게 보신 분들께 드릴 수 있는 답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