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일리 = 김하영 기자]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 제작진이 기존 예능과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송준섭, 안제민PD는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ENA 사옥에서 마이데일리와 만나 EBS·ENA 공동제작 예능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 라운드 인터뷰를 진행했다.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는 아조씨 추성훈이 세계 극한 직업에 도전하고 땀 흘려 번 '밥값'만큼 즐기는 현지 밀착 '리얼 생존 여행기'다. 추성훈이 작업반장으로 중심을 잡고 유튜버 곽준빈이 총무를, 코미디언 이은지가 오락반장 및 검색 매니저로 활약해 눈길을 끌었다.
현지의 극한 직업 체험기를 보여주는 만큼 기존 여행 예능과는 다른 색깔을 강조했다.
송 PD는 "시청자들 사이 여행 프로그램에 대한 싫증이 있을 수 있다. 어떤 식으로 해야지 시청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지 고민을 하고 있다"며 "그렇다 보니 재밌고 의미있게 고생하는 걸 원한다. 저도 여행 프로그램을 보시는 분한테 물어보는데 직접 해볼 수 없는 대리만족이라는 키워드가 변주 시키지 않을까 싶다"고 평했다.
안 PD는 "저희 방송사에 '지구마불'이라는 프로가 있는데 거기서도 이집트를 갔었다. 그떄는 현지인인 우리한테 물건을 파는 경우였는데 반대로 여기서는 누군가에게 물걸을 파는 입장이 되니까 비교해서 볼 수 있는 재미도 있을 것 같다"고 새롭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추천했다.
하지만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과포화된 여행 예능에 대해 "연예인들의 호화 여행을 보여주기 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냐"는 혹평이 제기된다.
이에 안 PD는 "'연예인 호의호식'이라는 인식이 생긴 시기는 유튜브 여행 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면서다. 방송 여행이 오히려 가짜처럼 느껴졌던 것 같다. 그래서 최근 예능은 로컬, 현지인의 삶, 고생과 체험으로 방향을 바꿔왔다. '찐'을 보여주려는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그렇게 되면 촬영 현장은 힘들다. 현장을 설득하고 버텨내야 한다. 하지만 시청자가 원하는 방향이라면 결국 그 길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저희가 먼저 촬영하러 간 중국은 그동안 여행 예능에서 선호한 곳은 아니다. 여행객으로서 구경하는 게 아닌 잠깐이라도 삶을 체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데 그걸 건드리고 싶다"라고 말했다.
송 PD 역시 "이제는 누구나 세계여행을 유튜브로 경험할 수 있는 시대다. 페루의 마추픽추, 프랑스의 에펠탑처럼 유명한 곳은 이미 충분히 소비됐다. 그래서 더 미시적이고 현지 삶에 밀착된 모습이 새로운 재미로 다가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