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포스코그룹이 인도 1위 철강기업 JSW그룹과 일관제철소 건설을 위한 주요 조건 합의서(HOA)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10월 체결한 사업 협력 MOU를 구체화하는 단계로, 양사는 인도 오디샤주에 조강생산량 600만 톤 규모의 일관제철소 건설을 추진한다.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대표이사 사장과 JSW Steel 자얀트 아차리야 사장 등 양사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 뭄바이에서 체결된 HOA는 제철소 부지 선정, 생산 규모, 지분 구조 등 협력 방안을 명확히 했다. 부지는 석탄과 철광석 등 천연자원이 풍부한 오디샤주를 주요 후보지로 선정해 공동 타당성 검토를 거쳐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생산 규모는 지난해 500만 톤에서 600만 톤으로 확대했다. 이는 최근 3년간 인도 내 철강 소비량이 연평균 9~10%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가파른 점을 반영했다. 지분은 양사가 각각 50%씩 보유하는 동등한 파트너십 구조로 추진된다.
양사는 이번 HOA 체결을 계기로 세부 투자 조건 협의와 인허가 절차를 진행해 본계약을 체결하고 일관제철소 건설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고경영층이 직접 참여하는 정기 교류회를 신설해 사업 진행 현황을 지속 점검하며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주태 사장은 "인도는 글로벌 철강 시장의 핵심 성장축으로, 포스코그룹과 JSW그룹의 오랜 신뢰관계로 구축해온 파트너십이 인도 일관제철소 건설이라는 결실로 이어졌다"며 "한국과 인도 1위 철강기업의 협업이 미래가치 창출은 물론 양국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7대 미래혁신과제 중 ‘철강경쟁력 재건’을 위해 국내외에서 전략적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품 고부가가치화와 AI, 로봇기술 융합을 통한 인텔리전트 팩토리 전환에 집중하며,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연구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인도와 북미 등 고성장·고수익 시장 선점을 위한 상공정 중심의 투자와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올해 4월에는 현대차그룹과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합작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대내외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철강 등 핵심사업의 본원 경쟁력을 강화하고 초일류를 향한 혁신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전략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