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0만원 아동수당 2030년까지 13세미만 확대… 요양병원 간병비 부담 30%로

마이데일리
어린이날인 5월 5일 대구 수성구 대구어린이세상에서 어린이들이 즉흥적으로 흘러나오는 K-팝에 맞춰 랜덤플레이댄스를 추고 있다. /뉴시스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현재 8세 미만 아동에게 지급되는 아동수당을 2030년까지 13세 미만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환자가 100% 부담하는 요양병원 간병비는 중증환자에 대해 30% 이내로 부담을 낮춘다.

아동수당은 아동 양육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건강한 성장환경을 조성한다는 취지로 2018년 도입된 것으로, 8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모든 가구에 월 10만원씩 지급된다.

12일 국회 등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해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르면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지원기준은 현행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에서 2030년까지 '기준 중위소득의 35% 이하'로 확대한다.

요양병원 중증환자 간병비 본인부담은 현행 100%에서 2030년 30% 이내로 대폭 줄인다.

장애인연금 수급자도 장애연금 수급자도 '종전 1·2급 및 3급 중복'에서 2030년 '종전 1·2급 및 3급 단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장애인연금 수급자는 현재 34만9000명에서 58만4000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아동수당은 대상을 현행 8세 미만에서 2030년 13세 미만으로 확대한다. 이 경우 지급 대상은 현행 215만명에서 344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앞서 대선 기간 아동수당 대상을 18세 미만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보다 연령이 하향 조정됐다.

이와 같은 생계급여 지원 확대, 요양병원 중증 간병비 지원, 장애인연금 확대, 아동수당 확대 등의 정책들은 12대 중점 전략 과제에 담길 전망이다.

국정위는 청년 대상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군복무 크레딧 확대, 출산 크레딧 사전 지원, 기초연금 부부감액 및 국민연금 감액 개선 등 연금제도를 손보겠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그밖에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발달장애인 국가책임제, 위기아동 청소년·청년 지원 강화, 출산·육아 지원 확대, 상병수당 도입 등의 복지 정책 역시 국정과제로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국정위는 보건정책과 관련해선 국민건강권 보장을 위해 필수의료를 확충하고 공공의료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월 10만원 아동수당 2030년까지 13세미만 확대… 요양병원 간병비 부담 30%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