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첫 정상회담이 오는 25일로 확정됐다.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이뤄지는 한미 정상회담이다. 양국 정상은 한미동맹 발전 방안 등을 논의하면서 최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의 구체적인 내용도 채울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오는 24∼26일 미국을 방문해 25일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다.
양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최근 타결된 관세 협상을 바탕으로 반도체, 배터리, 조선업 등 제조업 분야를 포함한 경제협력과 첨단기술, 핵심 광물 등 경제안보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양국은 대미 투자와 관련해 큰 틀에서 합의를 본 상태지만, 각론에까지 모두 세세하게 합의한 것은 아니어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투자 분야와 시기, 형태에 대한 논의가 진전될지 주목된다.
앞서 한미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관세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에 부과 중인 25%의 품목관세를 15%로 하향 조정하는 등의 내용에 합의했다.
당시 한국은 경쟁국인 일본·EU 수준으로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해 미국에 총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와 1000억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원유 등 에너지 수입을 약속했었다.
특히 '마스가' 프로젝트의 경우 미국이 해군력·조선업 부흥을 위해 특히 관심을 가진 분야여서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나올지도 관심이다.
'범용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서는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바이도 등 전략 산업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관세협상을 실무 지휘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4일 '대미 통상 전략 라운드 테이블'에서 "20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는 우리 경제와 기업에 실질적 도움 될 수 있도록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나가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다만 미국 측은 대미 투자에서 발생한 투자 수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간다고 설명하고 있고, 한국 측은 "상식적이지 않다"며 계속 협상할 여지가 있다는 입장이어서 이를 두고 정상 간 어떤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아울러 지난 관세 협상에서는 '봉합' 수준에서 넘어간 농산물, 온라인 플랫폼법(온플법) 등 비관세 장벽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미 간에 추가 시장 개방 등 문제를 놓고 인식 차가 있는 상황이어서 미국 측 공세에 한국 측이 어떻게 추가 개방 압력을 막고 선방할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한편 이번 한미 첫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구성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 LG그룹 구광모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의 참석이 점쳐진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