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내 최초 국가직영 '국립울진생태숲' 탄생…산불 피해 복원 거점으로 지역 재도약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경북 울진군 덕구리와 상당리 일원 47.6헥타르(ha)가 국내 최초로 국가가 직접 지정·관리하는 '국립울진생태숲'으로 12일 공식 지정됐다.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이번 지정이 "대형 산불 피해지 복원과 생태연구, 교육·체험을 아우르는 국가 차원의 첫 시도"라고 강조했다.

2022년 3월 발생한 울진 대형 산불은 1만6993헥타의 산림을 태워 역대 최대 피해를 남겼다. 피해지 중 덕구리·상당리 일대는 산림 생물다양성이 높고 희귀종 서식지가 포함돼 있어 복원의 시급성이 제기돼 왔다.

산림청은 약 71%의 피해지를 자연 복원 방식으로 회복 중이며, 나머지는 인공조림과 혼합방식으로 복원 계획을 세웠다.

이번 국립울진생태숲 지정은 단순한 복원을 넘어 산불 피해지 전 과정을 국가가 책임지고 모니터링하는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동안 전국 49개 생태숲은 모두 지자체가 관리해 왔지만, 국가 직영 체계는 이번이 처음이다.

산림청은 생태숲 지정과 맞물려 '국립울진산림생태원' 조성사업을 병행 중이다. 지난해 기본계획을 마쳤고, 현재 기본·실시설계가 진행되고 있다. 완공 시점은 2027년으로, 산불 피해 복원 연구와 장기 모니터링, 전시·교육·체험 공간이 함께 들어선다.

박영환 산림청 수목원조성사업단장은 "산불 피해 복원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연구·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전문가와 지역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성과를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울진군은 생태숲과 산림생태원 조성을 통해 연간 수십만명의 탐방객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숙박·음식·교통 등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생태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한 장기 체류형 관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역 주민들도 기대감을 감추지 않는다. 덕구리 마을의 한 주민은 "산불 이후 마을이 침체됐는데, 국가가 직접 나서 복원과 관광을 함께 추진한다니 희망이 생겼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복원 과정에 주민 참여를 확대하고, 장기적인 운영 예산과 전문 인력 확보가 필수라고 조언한다. 특히, 산불 재발 방지를 위한 예방 시스템과 생태관광 관리 계획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산림청, 국내 최초 국가직영 '국립울진생태숲' 탄생…산불 피해 복원 거점으로 지역 재도약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