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복지재단 '아침애만나' 통해 18만 끼니 나눔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이랜드복지재단이 서울역 인근에서 운영 중인 민간 나눔 무료급식소 '아침애만나'를 통해 8월8일 기준, 총 18만 끼니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하루 600여 명이 이곳에서 식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개소 1년 1개월 만에 이룬 이 숫자는 단순한 통계를 넘어 시민의 자발적 연대가 만든 기록이다.

'아침애만나'는 쪽방촌 주민, 거리 노숙인, 독거 어르신 등 취약계층에게 이른 아침 식사를 제공하는 전국에서도 드문 급식소다. 다수의 무료급식소가 점심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하루의 첫 끼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운영 철학이 더욱 돋보인다.


'아침애만나'는 기부와 자원봉사만으로 이뤄지는 민간 주도형 모델이다. 공공 예산에 의존하지 않고, 시민 후원과 교회 공동체 봉사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원봉사는 주로 인천·경기권 마가공동체 교회들과 지역 주민들로 구성돼 있으며, 1만 명이 넘는 누적 봉사자와 100여 명의 후원자, 40여 개 단체가 힘을 보탰다.

매일 새벽 자원봉사자들은 식자재를 손질하고, 정갈한 조리 과정을 거쳐 아침 식사를 준비한다. 광주 도시아낙네의 김치 후원, 이랜드킴스클럽과 팜앤푸드의 신선식품 제공, 아워홈의 특별식 셰프데이, 할렐루야교회의 짜장면 봉사 등 각기 다른 단체들의 참여로 운영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랜드복지재단 관계자는 "아침애만나는 이른 아침, 가장 필요한 시간에 전하는 한 끼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공간"이라며 "18만 끼니는 수치가 아니라 연대의 온기를 보여주는 기록"이라고 밝혔다.

식사 지원에 머무르지 않고, 삶의 재시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필그림교회 중심의 우쿨렐레 수업, 알코올 중독·법률 상담, 하늘소망교회의 주거·의료·취업 상담 연계 등은 이용자들이 사회와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최근에는 우쿨렐레 수업 수료자들의 공연이 진행돼 현장에 감동을 더했다.

'아침애만나'는 이랜드복지재단이 운영 중인 긴급 위기 지원 프로그램 'SOS 위고(SOS WE GO)'의 현장형 모델이기도 하다. SOS 위고는 생계·의료·주거 등 복합적 위기에 처한 이웃에게 빠르고 실질적인 민간 개입을 실현하는 이랜드만의 복지 플랫폼이다.

이랜드복지재단은 앞으로도 '아침애만나'를 기점으로, 민간 주도의 긴급복지 거점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랜드복지재단 '아침애만나' 통해 18만 끼니 나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