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단기 급등·구리값 폭등락'…금감원 "원자재 ETF 투자 유의"

포인트경제
금융감독원 /사진=뉴시스 (포인트경제)
금융감독원 /사진=뉴시스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금융당국이 최근 전쟁과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원자재 가격 예측이 어려워져 가격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관련 레버리지·인버스 상장지수채권(ETN)·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의 손실이 단기 확대될 수 있다고 투자자 주의를 당부했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이스라엘과 이란 간 전쟁으로 유가가 단기 급등했으며 지난달에는 미국 관세 불확실성으로 미국 구리 가격이 폭등·폭락한 사례가 나타났다.

지난 6월12일 배럴당 68달러였던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은 일주일 만인 6월18일 10.4% 급등해 75.1달러를 기록했다. 또 같은달 24일엔 14.3% 급락한 64.4달러까지 하락했다. 미국 구리 선물 역시 6월30일 5.08달러에서 7월23일 5.82달러로 14.5% 급등, 이후 일주일 만인 7월30일엔 20.3% 급락해 4.64달러를 기록했다.

6월 말 기준 원자재 ETP(ETN·ETF)의 자산가치 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체 ETP 자산가치 총액의 1.3% 수준에 불과하지만, 에너지 기초 상품의 경우 투지 자금 유출입이 활발한 레버리지 및 인버스 상품(천연가스는 91.1%, 원유는 72.9% 등)이 대부분인 특징이 있다.

지난 6월말 원자재 ETN·ETF 자산가치총액(억원, %) /금융감독원
지난 6월말 원자재 ETN·ETF 자산가치총액(억원, %) /금융감독원

금감원은 전쟁 및 관세 등으로 촉발된 원자재 가격 급등락이 관련 국제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지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투자자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경험이 많지 않은 개인투자자는 원자재 ETP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레버리지 및 인버스' 상품의 수익률은 기초자산의 수익률에 추적 배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된다. 이에 변동성이 큰 원자재 시장에서는 투자자의 투자손실이 단기간에 크게 확대될 수 있다.

특히 기초자산 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경우 누적 수익률이 기초자산 수익률보다 낮아지는 '복리 효과'가 발생해 기대한 수익률을 거두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자산이 100에서 80으로 20% 하락했다가 다시 100으로 25% 상승했다 해도, 2배 레버리지 ETP 가격은 100에서 60으로 40% 하락한 후 90(50%)까지밖에 오르지 못한다. 기초자산 누적 수익률은 0%인 반면 레버리지 ETP에서는 10%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복리효과 예시 /금융감독원
복리효과 예시 /금융감독원

투기성 자금 유입으로 괴리율이 높아지면 투자 손실이 발생할 위험도 있어 괴리율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필요도 있다. 괴리율은 ETP 시장 가격과 내재가치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ETP 상품의 내재가치가 100일 때 괴리율이 10%라고 한다면 해당 상품이 현재 시장에서 110의 고평가된 가격으로 거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괴리율이 양수(+)로 크게 확대됐다는 것은 상품의 시장가격이 내재가치 대비 고평가됐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평가된 시장 가격이 내재가치로 수렴하며 정상화되는 경우엔 괴리율에 해당하는 차이만큼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금감원은 "원자재 ETP의 거래 규모와 괴리율 등에 대한 이상 징후 모니터링을 지속하는 한편, 무역 갈등과 지정학 리스크 심화로 투자 위험이 확대되는 경우 신속하게 소비자 경보를 발령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유가 단기 급등·구리값 폭등락'…금감원 "원자재 ETF 투자 유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