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훈기 “KT 구조조정이 부른 비극… 김영섭 책임 묻고 특근 감독해야”

마이데일리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시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KT에서 다섯 번째 직원 사망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구조조정 책임론이 본격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산재예방TF 소속 이훈기 의원은 “강압적 구조조정이 부른 비극”이라며 “정부가 즉시 특별근로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이 의원은 최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영섭 KT 대표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구조조정이 AI 재편의 일환이며 강압적으로 진행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결과는 직원 5명의 죽음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것은 결코 개인의 불행이 아니라 기업 책임”이라며 “이윤이 생명보다 앞설 수 없다”고 강조했다.

KT는 지난해 10월 약 5800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자회사 전출을 추진했으며, 잔류한 기술직 2500여 명을 영업조직인 ‘토털영업TF’로 재배치했다. 오랜 기간 기술직으로 일해온 직원들이 낯선 환경에서 실적 압박을 받아온 가운데, 조직 내 괴롭힘과 정신적 고통이 누적됐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KT새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지난 7월 31일 토털영업TF 소속 직원 1명이 근무 중 쓰러져 사망했다”며 “2024년 구조조정 이후 공식 확인된 사망자만 다섯 명”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명예퇴직 후 심장마비로 사망한 사례를 시작으로, 올해 1월과 5월에는 토털영업TF 배치 직원 2명이 극단적 선택을 했고, 6월에는 자회사 전출자 1명이 숨졌다.

김영섭 KT 대표. /뉴시스

정책연구소 ‘이음’이 진행한 긴급 실태조사에 따르면, KT 영업직군 노동자 302명 가운데 74.5%가 고용 불안을, 62.7%가 우울증을, 88.1%가 불안장애를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92%는 현재 업무가 체질에 맞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94.4%는 여전히 고용 불안을 호소했다.

노조는 백령도·태백 등 원거리 발령, 실적 공개 망신, 야간 업무 독촉, 타직무 전환 불가, PC오프제 감시 등 다양한 형태의 직장 내 괴롭힘이 구조적으로 방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KT새노조는 정부와 사측에 △즉각적인 특별근로감독 △토털영업TF 해체 및 인사 원상 복귀 △정신건강 지원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김영섭 대표는 이 사태의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며 “이제는 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민주당 이훈기 “KT 구조조정이 부른 비극… 김영섭 책임 묻고 특근 감독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