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지 일주일 만에 대상자의 78.4%가 참여하며 높은 신청률을 기록한 가운데, 정책 전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20·30세대를 중심으로 세금 부담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29일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다수의 응답자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응답자들은 해당 정책이 △지역경제 활성화(77.0%) △소상공인 지원(81.1%) △가계 경제 개선(70.7%) 등 여러 방면에서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정책 시행 후 3개월 이내에 예상되는 변화로는 △소상공인 매출 증가(58.1%) △지역경제 활성화(46.0%) △소비 증가(39.0%) 등을 꼽았다.
나아가 정책에 대한 체감도 역시 높은 편이었다. 특히 50대를 중심으로 정부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에서 가장 높은 호감도와 신뢰도를 보였다. 이는 '자신이 낸 세금이 실질적인 혜택으로 돌아온다'는 점에서 정책의 효능감을 크게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렇다면 신청자들은 어디에 가장 많이 소비쿠폰을 사용했을까? 대부분의 신청자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항목에 소비쿠폰을 활용하고자 한다. 쿠폰 예상 사용처로 △외식·음료(70.0%)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이어 △식료품(63.7%) △생활용품(50.0%)이 뒤를 이었다. 특히 자신의 계층 수준을 낮게 평가한 응답자일수록 생활비 항목 지출 의향이 높은 편이었다.
실제로 현장에서도 소비쿠폰 효과가 감지되고 있다. 다이닝브랜즈에 따르면, 치킨 브랜드 bhc 전국 가맹점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5% 상승했다. 다이닝브랜즈는 "소비쿠폰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지난 22일부터 가맹점 방문 고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배달앱을 통한 '만나서 결제하기' 건수와 포장 건수가 눈에 띄게 상승했다"고 말했다.
한편 정책 효과에 대한 기대감과 동시에, 응답자 71.8%는 국가 재정 부담 증가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으며, 60.7%는 세금 부담이 늘어날 것을 걱정했다. '소비쿠폰은 정부가 빚을 내서 주는 용돈'이라는 지적에도 58.4%가 동의했다.
특히 20·30세대에서는 타 연령층 대비 세금 부담에 대한 걱정이 높은 편이었다. 20대(65.0%)와 30대(65.5%)는 '소비쿠폰 같은 정책이 계속되면 국민들이 더 많은 공짜 돈을 원할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선도 보였다. 20·30세대가 '향후에도 조세 부담의 상당 부분을 감당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