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환자 수가 역대 최다인 117만명을 기록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외국인환자 유치 등록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집계한 '2024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진흥원은 지난 4월 지난해 외국인환자 유치실적을 발표한 바 있다. 보고서에는 그 발표 내용을 토대로 보다 세부적인 통계자료와 심층 분석 결과가 담겨 있다.
보고서에는 2009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의료를 이용한 외국인환자수, 성별, 연령, 국적, 진료 유형, 의료기관 유형, 지역, 진료과 등 주요 요인별로 외국인환자의 추이가 포함돼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동안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환자는 실환자 기준 117만명(연환자 170만명)으로, 전년 실적(61만명) 대비 약 1.9배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009년 유치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래 누적 환자 수는 505만명에 달한다.
외국인환자의 국적은 총 202개국으로 다양했으며, 일본(44만1000명), 중국(26만1000명), 미국(10만2000명), 대만(8만3000명), 태국(3만8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과 대만은 각각 135%, 550%의 증가율을 보이며 방한 의료수요가 급증했다.
진료과목별로는 피부과가 전체의 56.6%(70만5000명)로 1위를 차지하며 성형외과(11.4%)와 내과통합(10.0%)을 크게 앞질렀다. 피부과는 2023년 대비 194.9% 증가했고, 한방통합도 84.6% 성장하며 외국인환자 유치 사업이 단기 외래 진료와 중장기 치료 중심 진료가 공존하는 구조로 재편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체 환자의 85.4%(100만명)를 유치하며 수도권 집중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부산(3만명)과 제주(2만명)가 전년대비 각각 133.6%, 221.0% 증가하며, 비수도권 지역도 특화 진료(피부, 한방, 치과 등)와 관광자원의 결합을 통해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외국인환자 유치의 가장 주목할 점은 방한 외래관광객(1637만명)보다 더 빠른 회복 속도를 보였다는 점이다. 일본, 중국, 대만의 경우 2019년 대비 관광 회복률은 90% 내외이나, 외국인환자는 2~3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한동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제의료본부장은 “2024년은 단순한 회복을 넘어 유치 사업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외국인환자 100만명 시대’를 연 전환점”이라며, “향후에는 한국의료에 대한 신뢰와 편의성을 중심으로 서비스 품질을 고도화 하고 연관 산업과 공진화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외국인환자 유치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홈페이지 또는 국제의료시장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