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북한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과 관련해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는 입장을 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일관된 행동을 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28일 “정부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북 고위 당국자의 첫 대남 대화를 통해 표명된 북측 입장에 대해 유의하고 있다”고 했다. 이번 북한의 담화는 이재명 정부가 들어선 후 첫 입장표명이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날 북한의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에 ‘조한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의 담화를 공개하며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했다.
북한은 정부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등과 관련해 “진작에 하지 말았어야 할 일들을 가역적으로 되돌려 세운 데 불과한 것”이라며 “다시 말하여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재명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앞에서는 조선반도 긴장완화요 조한관계 개선이요 하는 귀맛 좋은 장설을 늘어놓았지만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실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조를 꾸준히 유지해 나가겠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지난 몇 년간 적대, 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의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으로 정부는 적대와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가고자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