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황] 뉴욕증시, CPI 경계감 속 혼조…엔비디아發 훈풍에 나스닥 강세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뉴욕증시는 혼조 양상을 보였다.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전월 대비 커진 상승폭과 엔비디아 AI칩의 중국 수출 일부 재허용 소식 등이 맞물리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상승, 나머지 지수는 내렸다.

현지시간으로 15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436.36p(0.98%) 내린 4만4023.29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24.80p(0.40%) 내린 6243.76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37.47p(0.18%) 오른 2만677.80로 장을 마쳤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6월 CPI는 전원 대비 0.3% 상승했다. 직전월인 5월에는 0.1% 오른 바 있는데 오름폭이 더 커진 것이다.

근원 CPI는 예상치를 밑돌았으나 마찬가지로 전월 대비 증가했다.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2% 올라 5월(0.1%)보다 상승폭이 컸고, 전년 대비로는 2.9% 상승해 직전 월(2.8%)보다 더 높았다.

사실상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여파가 가시화되며 투자심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엔비디아의 긍정적 소식에 기술주는 일부 강세를 보였다.

미 정부가 엔비디아의 H20칩에 대한 중국 수출 제한 조치를 해제하며 주가가 4.04% 급등, 시가 총액은 4조1650억달러로 확대됐다.

엔비디아발 소식이 인공지능(AI) 업계 전반으로 퍼지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1.27% 상승했다. 시총 1조달러 이상의 빅테크 업체 중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파벳도 강세를 보였다.

국채금리는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에 일제히 급등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6.4bp 오른 4.491%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5.6bp 오른 4.954%로 집계됐다.

달러는 역시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57% 오른 98.64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50일간의 제재 유예 기간을 부여하며 공급 우려가 완화된 것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46달러(0.69%) 내린 배럴당 66.52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9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0.50달러(0.72%) 내린 68.71달러에 장을 마쳤다.

유럽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54% 내린 7766.21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31% 내린 5354.17을 기록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66% 내린 8938.32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42% 내린 2만4060.29에 거래를 마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해외시황] 뉴욕증시, CPI 경계감 속 혼조…엔비디아發 훈풍에 나스닥 강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