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보좌진 갑질’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됐다. 이에 따라 강 후보자에 대한 임명 여부를 두고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향후 강 후보자의 임명 여부는 ‘국민 여론’이 좌우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선 의혹에 대해 ‘충실히 소명했다’는 평가를 내놓으면서도 여론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반면 강 후보자의 낙마를 벼르고 있는 국민의힘은 자진 사퇴를 촉구하며 총공세에 나섰다. 강 후보자를 직장 내 괴롭힘 및 보복 갑질 혐의로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접수한 데 이어 고발도 예고한 상황이다.
◇ 민주당, ‘충실한 소명’ 기류 속 ‘여론’ 촉각
우선 민주당 내부에선 강 후보자의 청문회에 대해 ‘무난하다’, ‘충실히 소명했다’ 등의 자평이 나오고 있다.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15일 SBS 라디오에 나와 “(강 후보자가) 국민과 보좌진들에게 소명하고 사과하는 모습을 보면서 예상보단 무난하게 진행되지 않았나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도 KBS 라디오에 나와 “강 후보자가 의혹 전반에 대해 나름대로 성실히 소명했다”고 했다. 전날(14일) 청문회에 참여했던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인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호평이 나왔다.
채현일 의원은 페이스북에 “강 후보자는 그간 제기된 의혹에 대해 소상히 해명했고 부족했던 부분은 겸허히 인정하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며 “무엇보다 여성가족부가 나아갈 방향과 정책 로드맵을 분명하게 제시했다. 강 후보자가 장관으로서 충분한 자질과 준비를 갖췄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적었다.
다만 민주당은 여론 추이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갑질 의혹이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갑질 의혹에 대한 강 후보자의 ‘거짓 해명’ 논란도 불거졌기 때문이다.
청문회가 진행됐던 전날 SBS는 강 후보자가 과거 보좌진과 나눈 텔레그램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공개된 대화 내용엔 강 후보자가 ‘현관 앞에 박스를 놨으니 지역 사무실로 가져가 버려줘요’라고 당시 보좌진에게 지시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강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의원실 보좌진에게 쓰레기를 대신 버리라고 했다는 의혹에 대해 ‘전날 밤에 먹던 것을 아침으로 먹으려고 차로 갖고 내려갔던 적도 있다’는 취지로 해명한 것과는 상반되는 내용이라 ‘거짓 해명’ 논란이 불거졌다.
이와 관련해 박 수석대변인은 “(청문회가) 늦게 끝났고, (SBS) 8시 뉴스 같은 경우는 조금 늦게 보도가 돼서 이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을지 종합적으로 봐야 할 것 같다”며 “이걸 바라보는 언론이나 국민께서 그런 부분들도 함께 살피면서 저희도 의견을 모아보겠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도 “최종적인 평가는 국민이 판단하실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번 갑질 의혹의 대상이 보좌진인 만큼, 민주당은 보좌진의 분위기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더불어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또 김 대행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특정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하며 국민의힘의 청문회 태도 비판에만 집중했다. 그는 “청문회 첫날 국민의힘은 비방과 인신공격, 반대를 위한 반대로 일관했다”고 꼬집었다.
대통령실도 강 후보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피하는 분위기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 후 기자들과 만나 “강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대해선 일단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 그 부분에 대한 소명 여부와 설득력 여부도 주의 깊게 검토하고 있다”는 설명만 내놨다.
다만 대통령실도 ‘국민 여론’을 강조하고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전날 MBC 라디오에서 강 후보자를 직접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청문회가 끝난 후에 국민 여론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 국민의힘은 ‘낙마’ 총공세
반면 국민의힘은 강 후보자의 낙마를 벼르며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SBS 보도를 언급하며 “(강 후보자는) 이쯤 되면 본인이 알아서 거취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강 후보자가 임금체불 관련 진정을 두 차례 받았다는 점도 추가로 제시했다. 국회 여가위 야당 간사인 조은희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오늘(15일) 아침에서야 고용노동부 자료가 제출됐다. ‘근로기준법 제36조 임금체불 관련 진정’이 있었다”며 “국회의원 사무실에 임금체불 진정이 두 번이나 있었다는 것도 신기할 따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권익위 관련 자료에는 어떤 자료가 있을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임금체불과 그 사실을 숨기려는 후보자가 약자 보호 주무 부처인 여성가족부 장관이 돼선 안 된다”며 “강 후보자는 자진 사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두 건의 진정은 ‘행정종결’ 처리됐다. 조 의원이 페이스북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건의 경우 ‘신고자 의사 없음’으로, 2022년 건은 ‘법 적용 제외’ 대상으로 판단돼 종결됐다.
아울러 국민의힘은 이날 강 후보자를 직장 내 괴롭힘 및 보복 갑질 혐의로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접수했고, 청문회 위증 혐의 등으로 고발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강 후보자 위증 고발 계획이 있다”며 “당장 한다기보단 내용을 정리해 고발에 필요한 부분을 특정해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