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발암물질 지하수 2년 방치로 시민 건강 위협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가 1급 발암물질로 오염된 지하수를 2년 넘게 방치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외면한 무책임한 행정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광주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5)은 7월15일 열린 제334회 본회의 시정 질문을 통해 광주시의 대응을 강하게 질타하며, 강기정 시장에게 즉각적인 조치와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신장암과 중추신경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광주 하남산업단지 일대의 지하수에서 각각 기준치의 최대 466배, 284배에 달해 초과 검출됐으며, 이 같은 사실은 이미 2022년부터 광주시와 광산구가 인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오염은 단지 산업단지 내부에 그치지 않고, 인접한 수완지구 주거지역의 생활용 관정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한 발암물질이 검출돼 오염의 심각성이 더해졌다. 

박 의원은 "오염물질의 흐름이 수완지구와 풍영정천 방면으로 확산 중인 상황에서, 광주시가 2년이 넘도록 아무런 조치 없이 시민들을 방치한 것은 단순한 행정 착오가 아니라 명백한 재난 수준의 위기"라고 규정했다.

이 같은 지적은 단순한 주장에 그치지 않는다. 

광주시는 2019년 수립한 '지하수 관리계획'에 따라 이미 하남산단 일대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예견하고 있었으며,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약 1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정밀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조사 결과에서도 지속적인 TCE, PCE 검출이 확인됐고, 최근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생활용수 지하수에서도 기준치를 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음에도, 광주시는 아무런 행정적 조치 없이 시민들에게 사실조차 알리지 않았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광주시가 권한이 자치구 소관이라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고, 아무런 공식 사과나 조치를 하지 않는 것은 직무 유기에 해당한다"며 강 시장의 리더십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지금이라도 광주시는 즉각 수완지구의 관정 사용을 중지하고, 오염 확산 차단 및 정화작업에 착수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화 예산 150억 원 확보와 긴급 대응체계 가동을 촉구했다.

시민사회 역시 이번 사태를 단순한 환경 문제로 보지 않고, 행정 신뢰의 문제로 바라보고 있다. 특히 TCE, PCE 같은 유기염소계 발암물질이 장기간 노출될 경우 신장, 간, 신경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는 점에서 시의 대응이 더욱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편, 광주시 관계자는 논란에 대해 "지하수는 생활 밀집형 자원으로 관련 법령상 자치구의 관리 사무로 지정되어 있다"며, 행정적 책임이 자치구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이어 "이번 오염은 시민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심각한 사안으로, 광주시도 자치구와 협력해 단기·장기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대응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광주시의 이 같은 입장은 늦은 감은 있지만, 이제라도 시민 보호를 위한 실질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해당 사태가 2년 이상 방치된 사실에 대해서는 여전히 시민들과 의회의 강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시의 구체적 대응과 책임 있는 자세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광주시, 발암물질 지하수 2년 방치로 시민 건강 위협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