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자본주의 성공 방정식 바꿔야…인센티브 필요"

마이데일리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 참석해 인사말하고 있다. /대한상의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8일 "돈을 집어넣어도 해결할 수 없는 사회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기존의 성공 방정식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지속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을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최 회장은 저출생을 포함한 최근 일어나는 사회 문제들이 상당히 복잡해지고 발생 속도도 빨라지면서 돈만으로 이를 해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사회적 가치를 경제 시스템에 내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사회적 가치나 외부 효과를 시스템 내부로 가져오고 기업을 비롯한 여러 경제 주체들이 문제를 해결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식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기업들에 돈만 벌면 된다는 형태로 자본주의 시스템이 디자인되다 보니 다른 사회 가치를 만들 수 있는 효과나 이야기는 등한시됐다"면서 "사회 문제를 좋은 마음만 가지고 해결하라는 것은 그 문제의 해결 속도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에게 경제적인 인센티브 형태를 줘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SK그룹은 비영리재단 사회적가치연구원을 설립하고 2015년부터 사회성과인센티브(SPC)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SPC는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화폐화해 측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10년간 사업에 참여한 사회적 기업은 500여개로, 이 기업들이 창출한 사회문제 해결 성과는 약 5000억원, SK가 보상으로 지급한 인센티브는 약 700억원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한국의 현재 상황을 AI 대전환, 저성장, 통상환경 재편 등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더해 인구소멸, 지역 불균형, 기후 위기 등 사회문제가 급속도로 심화하는 복합 위기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신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정부와 기업, 사회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기업가정신의 진화와 우리나라 현실 진단'이란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전 회장(명지대 교수)은 "위기 상황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하며 우리 사회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혁신생태계를 공동 설계하고 참여하며 함께 책임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신기업가정신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와 한국사회과학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이날 행사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경제, 사회, 행정, 정치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요 학회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대한변호사협회 등이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신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정부와 기업, 사회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기업가정신의 진화와 우리나라 현실 진단'이란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전 회장(명지대 교수)은 "위기 상황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하며 우리 사회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혁신생태계를 공동 설계하고 참여하며 함께 책임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신기업가정신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RT는 대한상의가 2022년 발족시킨 기업 협의체로 현재 약 1850개 기업이 참여 중이다. 기술과 문화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발전을 끌어나가는 '신기업가정신'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자본주의 성공 방정식 바꿔야…인센티브 필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