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국회=조윤찬 기자 학계와 관련 업계에서 AIDC(AI 데이터센터)를 지방으로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전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다뤄지고 있다. AI(인공지능) 이용 증가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센터 중요성이 커졌다. 데이터센터를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데 정부가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 박종배 교수, AIDC 분산 정책 제안
7일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의원회관에서 ‘지속가능한 AI데이터센터 구축전략 세미나’ 행사를 열고 학계, 업계, 정부 의견을 모았다.
LLM(거대언어모델)이 개발되고 국내외에서 챗GPT 등의 AI 이용이 확산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인프라인 AIDC가 뒷받침 돼야 한다. 하민용 SKT AIDC 사업부 부사장은 세미나에서 “AIDC는 AI 컴퓨팅 자원과 전력 확보가 중요하다”며 “GPU(그래픽처리장치) 확보는 문제가 없다. 문제는 전력이다. 연산뿐만 아니라 방출된 열을 식히는 데에도 전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학계는 현 상태로면 2027년까지 AIDC의 40%가 전력공급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DC전력소비량은 8.2TWh로 예상되며, 오는 2038년은 30TWh로 3.7배 전력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DC 전기사용 신청은 55%가 수도권에 집중된 상태다. 송전망이 제한돼 향후 수도권 신규 DC 허가는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 DC는 수요자들인 기업들이 수도권에 몰려 있고, 부동산 투자 장점도 있어 수도권에 많았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AIDC 분산 정책을 제안했다. 수도권은 소규모 AIDC, 호남권은 재생에너지 기반 대규모 AIDC, 영남권은 원자력 기반 대규모 AIDC를 두자는 게 박 교수 설명이다. 호남권은 재생에너지가 공급 과잉, 영남권은 원자력이 공급과잉 지역이다.
앞서 일본은 오사카와 도쿄에 DC의 90%가 집중됐다. 일본은 재난대응, 지방소멸 해결방안으로 AIDC 분산 정책을 진행하는 중이다. 전국에 지역 거점 DC를 두는 방안이다.
◇ SKT, 정부에 인프라 투자·세제혜택·영향평가 간소화 요구

하민용 SKT 부사장은 AIDC를 지방으로 분산하도록 하는 지원 정책을 요구했다. 하민용 부사장은 전기요금 할인,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로 지방분산을 유도해달라고 밝혔다. 또한 지방은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로, 송전망, 통신, 교통 등 필수 인프라를 국가 차원에서 보강하고, DC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정책도 제안했다.
채효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전무는 “지방에 송전시설을 정부가 선투자해줘야지 사업자들이 AIDC를 지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신규 DC 건설을 허가받으려면 전력계통영향평가, 토지오염평가, 건축허가, 환경영향평가 등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한다. 전력계통영향평가는 수도권 등에 10MW 이상 전력소비자가 입주하는 경우 전력수요의 지역분산 유도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평가다.
채효근 전무는 “전력계통영향평가를 수도권과 지방 모두 동일하게 해 지방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성준 산업통상자원부 전력계통혁신과장은 “예로 군산 특구에 입지한다면 전력계통영향평가를 간소화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고, AIDC도 과기정통부와 함께 평가 완화를 논의하고 있다. AI처럼 이격해도 괜찮은 부분들은 적극적인 지방 이전이 되도록 소통하겠다”고 답했다.
장기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진흥과장은 “DC가 전자파가 나온다거나 유해시설이라는 인식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전문가들과 협력해 알리고 있다”며 “AIDC를 활성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AIDC 투자 세액공제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협의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