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케이뱅크가 국내 인터넷전문은행 중 유일하게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철퇴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신규취급액 기준)은 올해 1분기 말 26.3%를 기록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 초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목표를 신규취급액 기준 30% 이상으로 추가 설정했다. 기존의 경우, 잔액 기준 30% 이상을 요구했었다.
잔액 기준으로 지난해 내내 목표치를 달성해왔던 케이뱅크는 기준이 강화되자 바로 올해 1분기부터 비중을 채우지 못했다.
반면, 카카오뱅크(323410)와 토스뱅크의 신규취급액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각각 33.7%, 30.4%로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
이에 대해 케이뱅크는 은행연합회 공시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케이뱅크 측은 "1분기 신규 신용대출 공급액 중 중·저신용자 대상 공급액 비중은 목표치를 상회한다"며 "다만 1분기 평균 잔액 기준으로는 26.3%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평균 잔액은 조기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며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았던 2월·3월의 반영률이 1월보다 낮은 것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미 기준치를 미달한 케이뱅크에 대한 엄중 경고를 준비하고 있다. 다만 2분기 결과를 지켜본 뒤 판단을 내릴 방침이다.
현재 케이뱅크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다. 세번째 도전이자, 사실상 마지막 기회로 평가받는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1년 6월 재무적 투자자(FI)들과 '동반매각매도청구권 및 풋옵션' 조항이 포함된 계약을 체결했다. 이 조항에 따라 오는 2026년 7월까지 상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투자자들은 케이뱅크 지분을 매각할 수 있다.
케이뱅크는 이미 2023년 2월과 10월에 두 차례 IPO를 추진했지만, 증시 침체와 수요예측 부진 등으로 철회한 바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