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간담회는 지역 소멸 위기 속에서 지방대학의 역할과 생존 전략을 논의하고, 청년 인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지원 위원장과 서삼석 본부장을 비롯해 광주·전남 지역 대학교 총장협의회 소속 11명의 총장이 참석해 지역과 대학이 직면한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의견을 교환했다.
참석자들은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청년 인재의 지역 정착 유도, 지자체와의 협력 확대, 지역 소멸 대응 전략 마련 등 다양한 과제를 중심으로 활발한 논의를 이어갔으며, 민주당의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총장들은 한목소리로 "지방대학이 살아야 지역이 살고, 지역이 살아야 국가의 균형 있는 발전이 가능하다"고 강조하며, "지방대학은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 지역의 혁신과 미래를 이끄는 중심축"이라고 역설했다. 이들은 각 대학이 처한 당면 현안과 어려움을 공유하며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박지원 위원장은 "국립대와 사립대가 각자의 강점을 살려 역할을 분담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광주·전남 지역의 균형발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화답했다.
이어 "오늘 총장님들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을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교육정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하며 지방대학 활성화를 위한 민주당의 의지를 피력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다양한 제안과 의견들은 향후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및 지역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제안과 협력 방안 마련에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허승준 광주교육대학교 총장, 김동진 광주대학교 총장, 송하철 국립목포대학교 총장, 이주희 동신대학교 총장, 윤빈호 목포가톨릭대학교 총장, 최미순 세한대학교 총장, 이근배 전남대학교 총장, 김춘성 조선대학교 총장, 서유미 초당대학교 총장, 박진호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총장직무대행, 박상철 호남대학교 총장 등 광주·전남 주요 대학 총장들이 함께 자리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