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아시아 전역 코로나 재확산…고위험군 중심 백신 전략 속 한국·일본의 선택은?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한동안 잠잠했던 코로나19가 아시아 전역에서 다시 확산하고 있다. 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지에서 확진자 수가 눈에 띄게 늘고 있으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국도 오는 여름철 재유행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확산의 배경에는 여행 수요 회복, 백신 면역력 감소, 새로운 변이 출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태국 질병통제국은 이달 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가 3만 3030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직전 주의 1만 6000여 명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수도 방콕에서만 6290명이 감염됐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가 가장 많았다. 같은 기간 1918명이 입원했고 2명이 사망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4월 열린 태국 최대 축제인 송끄란(물축제)이 급증의 계기가 됐다고 분석한다.

대만에서는 응급 환자 수가 전주 대비 88% 증가했고, 홍콩은 최근 4주 사이 중증 환자 81명 중 30명이 사망했다. 중국 본토도 3월 말 7.5%였던 코로나19 양성률이 5월 초 16.2%로 급등했으며, 싱가포르도 1주일 새 1만 4200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 일본 코로나19 감염 추세 (2025년 5월 23일 기준, 전국 평균은 0.96명. 일부 지역은 1명을 넘어 재확산 조짐이 뚜렷하다/NHK 제공 갈무리(포인트경제)
▲ 일본 코로나19 감염 추세 (2025년 5월 23일 기준, 전국 평균은 0.96명. 일부 지역은 1명을 넘어 재확산 조짐이 뚜렷하다/NHK 제공 갈무리(포인트경제)

이런 확산세는 일본도 예외가 아님을 보여준다. NHK가 23일 발표한 ‘의료기관당 감염자 수’ 전국 데이터를 보면, 일본의 전국 평균은 0.96명으로 1명에 근접했다. 특히 오키나와(1.98명), 군마(1.69명), 이와테(1.57명), 도쿄(1.03명) 등 다수 지역이 감염 재확산 기준치(1.0)를 넘었다. 전문가들은 일본 역시 “재유행의 진입기에 들어섰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 세계는 백신 정책을 ‘전 국민 접종’에서 ‘고위험군 중심 접종’으로 전환하는 흐름에 들어서고 있다. 최근 CNN에 따르면, 미국 FDA는 올가을부터 접종이 시작될 개량형 코로나19 백신의 대상자를 65세 이상 고령자와 중증 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접종의 효율성과 비용 대비 효과를 따져, 자원을 집중하겠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의 승인 방식을 변경할 방침이다.(사진: Jon Cherry/Getty Images, CNN Newsource 제공)/CNN 21일 보도분 갈무리(포인트경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의 승인 방식을 변경할 방침이다.(사진: Jon Cherry/Getty Images, CNN Newsource 제공)/CNN 21일 보도분 갈무리(포인트경제)

미국의 이 같은 결정은 영국, 캐나다, 호주 등 다른 선진국의 정책 기조와도 일치한다. 전 세계적으로 백신에 대한 피로감이 누적되고, 집단 면역의 개념도 불완전한 것으로 드러난 만큼, "누가 맞아야 하는가"에 대한 재정의가 시작된 셈이다.

그렇다면 한국과 일본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한국은 현재 고위험군 위주로만 접종을 권장하고 있지만, 여름철 확산세가 강해질 경우, 접종 대상 확대와 같은 정책 선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실내 환기 부족, 냉방기 사용 증가, 접종률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릴 경우, 고령층 중심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일본도 유사한 상황에 놓여 있다. 백신에 대한 관심은 팬데믹 초기보다 훨씬 낮아졌고, 일부 지역에서는 접종 오정보와 불신이 여전히 존재한다. 대규모 접종소나 전국민 대상 접종 알림은 이미 사라졌으며, 현재는 고령자 위주로 소규모 재접종만 이뤄지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의 백신 정책이 ‘선택과 집중’으로 간다 해도, 고위험군의 정의를 단순히 연령 기준으로만 할 것이 아니라, 생활환경, 기저질환, 직업군 등 사회적 취약성 요소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순한 '누구나 접종'이 아니라, ‘어떤 사람에게 우선적으로 접종할 것인가’를 묻는 정책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포인트경제 도쿄 특파원 박진우 기자]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초점] 아시아 전역 코로나 재확산…고위험군 중심 백신 전략 속 한국·일본의 선택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