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부실, 올해 중 절반 이상 정리…"충격 우려 해소"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금융회사 건전성 악화 요인으로 부각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채권' 절반 이상이 올해 안에 정리·재구조화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부실 정리가 미진한 금융회사에 대해 현장정검과 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 연착륙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2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유의·부실우려 PF 사업장 23조9000억원 가운데 52.7%인 12조6000억원이 올해 6월 말까지 정리·재구조화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업권별 예상 잔여부실은 1조원 내외로 감소해 관리 가능한 수준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장의 급격한 충격 우려를 상당부분 해소했고,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금융회사의) PF대출 고정이하여신과 연체율 등 건전성 개선 효과도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앞서 부동산 PF는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부실화됐다. 금융권 PF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1.19%에서 2024년 6월 말 3.56%로 두 배 이상 뛰어올랐다. 

이처럼 금융회사 건전성이 악화하자, 금융당국은 2024년 6월부터 부실 사업장을 선별해 정리·재구조화에 착수했다. 

지난해 말 기준 파악된 부실 PF 규모는 23조9000억원이다. 올해 3월 기준 9조1000억원에 대한 정리·재구조화가 완료된 상태다. 여기에 △중대형 사업장 모니터링 강화 △업권 정상화펀드 매각 △플랫폼 활용 등의 조치로 6월 말까지 총 12조6000억원이 부실채권에서 제외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 등에 따른 추가 부실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정리와 재구조화를 상시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실 정리가 미진한 개별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현장점검과 충당금 추가 적립 등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유도하겠다"며 "현장검사 등을 통해 PF대출 취급 과정상 미비점이 확인되는 경우, 즉시 보완하도록 하고 이를 업권에 공유해 건전성 관리와 여신심사 수준이 전반적으로 상향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금감원은 PF대출 관련 위법·부당행위 사례도 공유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A금융회사 여신담당자는 한 시행사에 대한 대출실행의 대가로 2140만원을 수수했다. 이 과정에서 시행사가 자기자본 요건 등 대출 취급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자, 법무사를 통해 자금 조달을 알선하기도 했다. 

또 다른 한 시행사는 건설 프로젝트 관리(PM) 용역 수수료를 과다 책정해 대출금을 부풀렸다. B 금융회사는 용역 수수료 규모(22억5000만원)와 총 사업비 대비 과다한 부분과 사익 추구 정황이 있었음에도 자금 집행을 강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부동산 PF 부실, 올해 중 절반 이상 정리…"충격 우려 해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