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최근 대통령 선거캠프나 국회의원 보좌관을 사칭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의 '노쇼 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경찰이 주의를 당부했다. 이들은 단체예약을 한 후 다른 물품 주문을 요청해 송금을 유도하고 송금하면 잠적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

20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노쇼 사기꾼들은 언제든지 역할과 범행에 이용할 물품만 바꿔 범행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2단계 속임 구조를 가지고 있다.
1단계에서는 피해자가 운영하는 업체 물품에 대한 주문, 2단계에서는 나중에 피해자 물품과 함께 결제한다며 피해자 업체에서 취급하지 않는 다른 업체의 물품을 '대신' 구입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선 관련 정당 관계자를 사칭해 ▲피해자가 운영 중인 식당에 선거운동원 회식을 위해 단체예약을 한 후 ▲회식 때 고급 와인이 필요한데 와인 판매업체에 대신 주문해줄 것을 요청하며 연락처를 전달하고 ▲피해자가 와인 판매업체에 연락하면 위조된 명함을 보내며 송금하도록 하고 ▲와인 구매대금을 송금하면 모두 연락을 끊는 식이다.

그동안 피해업체 인근의 군부대 군인 등을 사칭한 '노쇼 사기'가 대다수였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국적으로 접수된 군부대 노쇼 사건은 537건에 달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유명 연예인 소속사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대통령 선거 관련 개별 정당의 선거캠프나 국회의원 보좌관 사칭 등으로 시나리오도 다양해지고 있다.
경찰은 현재 '노쇼 사기'가 피싱사기나 투자리딩방 같은 사이버 기반 사기 형태라는 점을 고려해, 피싱사기 전문수사부서인 강원경찰청 형사기동대 피싱범죄수사계를 집중수사관서로 지정해 수사하고 있다.
노쇼 사건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콜센터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최근에 다수 접수되고 있는 정당 사칭 사건도 다른 노쇼 사기들에서 발견되는 통신 형태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노쇼 사기도 전화금융사기·투자리딩방과 같은 비대면 기반 사기이며, 초국경 범죄이므로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인공지능(AI) 등 각종 기술을 악용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찰청은 "우선 휴대전화로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연락 온 전화번호가 아닌 해당 공공기관·사무실의 공식 전화번호에 직접 확인해서 물어봐야 한다"며 "특히 1차 주문 때부터 확인해야 음식 등 제작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최근 노쇼 사기가 많은 만큼 해당 기관에 확인하는 것은 실례가 되지 않는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해당 업체에서 취급하지 않는 다른 물품을 대리해 구매해달라는 2차 주문은 노쇼 사기의 전형적인 형태"라며 "단호하게 거절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