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인천 심혜진 기자] '배구 황제' 김연경이 감독 데뷔전을 치른 가운데 김연경이 지휘한 팀 스타가 승리를 따냈다. 이 행사를 끝으로 김연경은 코트와 작별을 고한다.
팀 스타는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팀 월드와 경기서 80-63으로 이겼다.
이번 대회는 김연경의 감독 데뷔전이라 더욱 눈길을 모았다.
경기 전 김연경은 “무엇보다 승리가 가장 중요하다”며 승부욕을 숨기지 않았다.
김연경은 “팬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경기가 되어야 한다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단순한 쇼가 아닌, 치열한 승부 속에서도 재미를 줄 수 있는 경기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대 팀인 팀 월드에 대해서는 “커리어나 네임밸류 면에서 우리보다 우위라는 평가가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우리 팀 선수들의 분위기와 각오는 남다르다. 나 역시 감독이자 선수로서 코트 안팎에서 선수들을 잘 리드해 승리와 멋진 경기,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고 각오를 전했다.
김연경이 이끈 팀 스타는 켈시 로빈슨, 멜리하 디켄(이상 아웃사이더히터), 오펠리아 말리노프(세터), 미노와 사치, 크리스티나 바우어(이상 미들블로커),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아포짓 스파이커)가 나섰다.
2024~2025시즌 여자배구 흥국생명의 통합우승을 이끈 뒤 페네르바체 지휘봉을 잡은 미르첼로 아본단자 감독이 팀 월드를 이끌었다.
팀 월드는 조던 라슨, 나탈리아 페레이라, 마렛 그로스(아웃사이더히터), 사카에 에리카(세터), 플레움짓 틴카오우, 치아카 오그보그(미들블로커), 나탈리아 곤차로바(아포짓 스파이커), 이노우에 코토에(리베로) 등이 출전했다.


이날 경기는 세트당 20점을 먼저 낸 팀이 세트를 가져가고, 최종 4세트에는 누적 80점에 먼저 도달하는 팀이 승리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1세트 11-14에서 멜리하의 득점과 바우어 블로킹으로 추격에 나섰다. 긴 랠리 끝에 미하일로비치의 강타, 바우어 밀어넣기로 동점에 성공했다. 그리고 팀 월드의 서브 범실로 역전을 만들어냈다. 리드를 끝까지 지켜내면서 팀 스타의 승리로 끝이 났다.
2세트부터는 '선수 김연경'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에덴 에르뎀 역시 코트를 밟았다. 3-1에서 김연경의 첫 득점이 나왔다. 에르뎀도 블로킹으로 득점에 가세했다.
하지만 연속 득점을 허용하면서 역전을 허용했다. 여기서 김연경이 날았다. 오픈 득점으로 포인트를 냈다.
그럼에도 팀 스타의 리시브가 흔들리면서 격차가 벌어졌다. 김연경이 꾸준히 득점을 올리면서 추격을 해 나갔다.
상대 범실과 팀 스타의 득점으로 총 35-35 동점에 성공했다. 팀 스타가 흐름을 탔다. 에다의 서브로 시작된 공격이 통했고, 블로킹 득점까지 나오면서 대역전극으로 마무리했다. 40-37로 승리했다. 김연경은 2세트에서 5득점을 올렸다.
김연경이 다시 감독으로 나선 3세트에서도 팀 스타의 활약은 이어졌다. 바우어의 서브에이스가 터지면서 10점차로 크게 달아났다.
이후 계속해서 팀 스타가 맹공을 퍼부으면서 60-46으로 크게 이겼다.
4세트에서는 다시 선수 김연경으로 나섰다. 리시브 범실을 범하기도 했지만 김연경의 스파이크는 코트 구석 구석을 찔렀다. 강력한 백어택으로 상대 리시브를 흔들기도 했다.
경기 분위기는 점점 치열해졌다. 69-55에서 긴 랠리가 이어졌다. 김연경의 손에서 포인트가 났다. 이렇게 70점 고지를 먼저 밟았다.
72-59에서 김연경이 대각선으로 꽂아넣었다. 에르뎀이 블로킹으로 77점째를 만들었다. 코트에서도 감독의 역할을 잊지 않았다. 선수 교체를 지시하고 다시 선수로 돌아갔다. 그 다음 플레이에서 김연경은 연타를 퍼부어 78점째를 올렸다. 매치포인트에서 김연경이 경기를 끝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