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점 대비 30% 폭락" 금감원, 정치테마주 '투자 주의보'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대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자 금융당국이 공동대응에 나섰다.  정치테마주의 72%가 고점 대비 30% 이상 폭락한 것으로 드러난 만큼, 신중한 투자 판단을 당부했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전날 실무회의를 열고 정치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를 방지하고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조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정치테마주 중 72%가 고점 대비 30% 이상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종목 대부분은 자산규모가 영세하고 수익성이 낮은 중소형주다. 시장 대비 고평가되어 있으며 대선 국면을 맞아 변동성도 큰 상황이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정치 테마주의 개인 투자자 비중은 86.9%다. 시장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66.6%)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금감원이 정치 테마주의 매매차익(최근 1개월 기준)을 분석한 결과 42개 종목에서 손실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관계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확대하고 시장 감시 및 조사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먼저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해 정보공유를 확대하고 시장감시와 조사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감원 조사1국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 부문간 핫라인을 구축했다.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증권 포털사이트 게시판을 통해 정치인 관련 허위 풍문을 생성·유포하며 일반 투자자의 추종 매매를 부추기는 행위를 집중 감시한다. 또 작전 세력의 매매 유인성 통정매매, 상한가 굳히기, 허수성주문, 고가매수 및 연속적인 단주 주문 등 이상매매 주문 행위도 단속한다.

거래소는 정치 테마주에 대한 예방조치를 요구하고, 시장경보종목 지정·조회공시요구 등을 통해 과도한 주가 상승 방지에 나선다. 정치 테마주 대상 시장교란행위를 기획 감시하고, 불공정 거래 의심 계좌는 최우선 심리한다.

금감원은 정치 테마 관련 불공정 거래 혐의가 발견되는 경우 즉시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풍문 생성·배포 행위, 이상 주문 등 시장 교란 행위에 대해서도 엄정 조치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치 테마주는 풍문과 투기적 수요에 따라 가치가 실제보다 부풀러진 경우가 많다"며 투자자들의 신중한 투자판단을 강조했다.

이어 "풍문을 생성, 유포하는 행위만으로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해 과징금 등 부과대상이 될 수 있다"며 "정치 테마주를 포함한 주식 불공정거래 행위로 의심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로 즉시 제보해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고점 대비 30% 폭락" 금감원, 정치테마주 '투자 주의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