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올해 1분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0곳에서 수출이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철강·화학제품 수출을 위축시키며 지역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1분기 수출은 부산(-3.1%)을 포함한 10개 시도에서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7곳보다 확대된 수치다.
같은 기간 전국 수출은 2.1% 감소해 지난해 내내 이어졌던 증가 흐름이 멈췄다.
지역별로는 전남(-19.3%)과 대구(-16.6%), 세종(-11.0%) 등에서 감소폭이 컸다. 전남은 경유·석유제품, 대구는 유기·무기 화합물, 세종은 화학제품 수출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반면 제주(45.3%)와 충북(9.0%), 대전(8.9%)은 메모리 반도체·수송장비 수출 증가에 힘입어 오름세를 보였다.
미국은 지난 3월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이달 초부터 자동차 부품에도 25% 관세를 부과하며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2분기에도 국내 지역 수출 환경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광공업 생산 역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강원(-12.2%)과 세종(-6.6%)을 포함해 11개 시도에서 생산이 감소했다. 증가는 경기(8.8%)와 광주(6.0%) 등 6곳에 그쳤다.
서비스 소비를 나타내는 서비스업 생산도 타격을 받았다. 대구(-2.9%)와 경남(-2.9%) 등 14개 시도에서 줄었다. 증가한 곳은 세종(4.0%)과 서울(1.2%) 등 3곳에 불과했다.
소매판매는 부산(4.7%) 등 12개 시도에서 늘었다. 다만 제주(-7.0%) 등 5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건설수주는 광주(-88.9%)와 경남(-69.3%) 등 10개 시도에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용률은 충남(1.9%p), 강원(1.3%p) 등 11개 시도에서 상승했다. 실업률은 서울(1.3%p), 세종(0.9%p) 등 6곳에서 높아졌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