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58% “차기 대통령 정했다”… 21대 대통령에게 바라는 자질은?

시사위크
교원 절반 이상이 오는 6월 3일 이뤄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할 후보를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게티이미지뱅크
교원 절반 이상이 오는 6월 3일 이뤄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할 후보를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게티이미지뱅크

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오는 6월 3일 이뤄지는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교원 절반 이상이 투표할 후보를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차기 대통령으로 지지(투표)할 후보를 정했냐는 물음에 58%의 교원이 ‘정했다’고 응답했다. 향후 지지 후보가 바뀔 가능성이 있느냐는 문항에는 51.4%가 ‘없다’고 답했다. 

제21대 대통령이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자질에 대한 질문에는 50.3%의 교원이 ‘소통과 통합능력’을 꼽았다. 차기 대통령이 가장 중시하고 우선 추진해야 할 교육 정책으로는 ‘교권 보호’(23.6%)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교권 처우 개선(19.3%)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 교육여건 개선(17.9%) 순으로 뒤를 이었다.

차기 대통령이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자질을 묻는 질문에 50.3%가 '소통과 통합능력'을 꼽았다.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차기 대통령이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자질을 묻는 질문에 50.3%가 '소통과 통합능력'을 꼽았다.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최근 대학수학능력시험 복수 시행 방안이 제기되는 것에 대해서는 60.3%가 ‘반대’ 의사를 드러냈다. 수능 시험에 서‧논술형 문항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과반수 이상(63%)이 ‘반대’를 택했다.

국민연금 개편 논의와 함께 공론화 되고 있는 정년 연장에 대해서는 57.6%가 ‘찬성’을 선택했다. 찬성 이유로는 60.6%가 ‘연금 소득 공백 해소’를 꼽았다. 반대 이유로는 43.3%가 ‘세대교체 지연으로 학교 분위기 침체 우려’를 꼽았다.

뿐만 아니라 최근 저연차 교사 이탈 현상에 대해 90%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이탈의 원인에 대해서는 ‘교권 침해’(40.9%)를 1순위로 답했다. 계속해서 △사회적 인식 저하(26.7%) △업무 강도 대비 낮은 보수(25.1%)를 주요 이유로 꼽았다.

이에 따라 저연차 교사 이탈 방지 대책으로는 ‘교권 보호 법‧제도 마련’(37.3%)과 ‘보수 및 수당 현실화’(34.8%)를 우선적으로 요구했다.

교총은 “교권 보호와 교육 여건 개선을 바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절실히 묻어난 설문 결과”라면서 “교원이 학생 교육에 전념하고,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 본연의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정부‧국회‧사회가 함께 지원‧협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교원 58% “차기 대통령 정했다”… 21대 대통령에게 바라는 자질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