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한화, 10년 내 美서 매년 원잠 2~3척 건조 목표”

마이데일리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시의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선박 명명식에서 이재명 대통령,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환영사를 하고 있다. /한화그룹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한화가 향후 10년 안에 미국 필라델피아의 한화필리조선소에서 매년 2~3척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을 건조하는 내부 계획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WSJ는 10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를 보유한 한화가 향후 10년 이내에 미국에서 매년 2~3척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을 건조한다는 내부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WSJ는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한화가 새로운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리조선소 인근 지역에서 사업 확장 기회를 모색 중”이라고 전했다.

한화오션이 지난해 12월 인수한 필리조선소는 한국과 미국이 협력하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핵심으로 평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쇠퇴한 미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겠다고 공언해왔다.

WSJ의 이날 보도는 한국이 최근 승인 받은 원잠 건조의 장소를 놓고 일부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한국의 원잠 건조를 승인하면서 필리조선소를 건조 시설로 언급한 바 있다.

다만 한국 정부는 원잠의 ‘국내 건조’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 7일 원잠의 건조 장소와 관련 “(한미) 정상 간 대화에서는 한국에서 짓는 것으로 논의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지난 5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필리조선소는 기술력과 인력, 시설 등이 상당히 부재한 면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원잠을 국내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WSJ은 이날 기사에서 한화가 건조를 목표로 한다는 2∼3척이 한국의 원잠인지, 미 해군에 인도할 원잠인지 등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아울러 한화필리조선소가 연간 생산량을 최대 20척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소개했다.

필리조선소에 신규 인력 수천명을 채용하고 새 대형 크레인과 로봇 장비, 교육 시설 등을 도입한다는 게 한화 측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한화필리조선소는 1년에 상선 한 척을 생산하는데, 이는 한화가 한국에서 일주일 만에 할 수 있는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데이비드 킴 필리조선소 대표는 한국의 접근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WSJ에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방식대로 일을 계속할 수는 없다”며 “우리는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WSJ “한화, 10년 내 美서 매년 원잠 2~3척 건조 목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