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교육청 '미래교육·기초학력' 두 축으로…2026년도 예산안 46607억 제출"
■ "충남 학생들, 직접 카메라 잡다…'미소진 영상교실' 인기 폭발"
[프라임경제] 충남교육청(교육감 김지철)은 2026년도 예산안을 총 4조6607억원 규모로 편성해 5일 충청남도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 대비 8억 원(0.02%) 증가한 수치다.

세입예산은 △이전수입 4조5318억원 △자체수입 65억원 △전년도이월금 등 기타수입 425억원으로 편성됐다. 통폐합학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적정규모학교 육성지원기금 67억원과 재정 불균형 완화를 위한 △통합재정 안정화기금 732억원도 포함됐다.
세출예산은 △인건비 2조5562억원 △학교·기관운영비 7975억원 △교육사업비 7912억원 △시설사업비 4775억원 △민간투자사업(BTL) 상환 333억원 △예비비 5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충남교육청은 이번 예산안의 편성 방향을 '학교 현장 중심 운영'과 '교육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두고, 안전·미래·책임·교육협력 4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충남미래교육 5대 정책(행복·미래·시민·책임·지원행정)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문화 조성을 위해 △교권보호 지원 29억원 △학교폭력 예방 및 지도 71억원 △학생맞춤통합지원센터 및 이끎학교 운영 11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평가 혁신을 위해 △충남형 IB학교 운영, 혁신학교 문화 확산, 미래형교육과정 본보기학교 운영 등에 47억원을 투입한다. 디지털 교육 강화를 위해 △AI융합교육 및 정보교육 기반 구축 14억원, △디지털교과서 사용료 지원 및 스마트교육 환경 조성에 74억원을 배정했다.
기초학력 보장과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기초학력 특별보충과정·온채움선생님 지원·학습종합클리닉센터 운영에 118억원을 편성했으며, 모두가 함께 배우는 충남형 늘봄체제 구축을 위해 △돌봄·방과후학교 운영 523억원 △유아 돌봄 및 방과후과정 243억원 △특수교육 방과후학교 지원 78억원을 배정했다.
아울러 다문화 학생 지원과 지역 연계 교육에도 힘쓴다. △다문화교육 지원 47억원, △충남마을교육공동체 및 행복지구 운영 50억원, △산학협력 교육과정 및 취업지원센터 운영 39억 원 등이 포함됐다.
김지철 교육감은 "최근 3년 연속 교부금 감액으로 교육재정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인건비와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사실상 축소 예산이지만, 우선순위를 고려한 선택과 집중으로 공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예산 편성을 했다"며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위한 핵심 사업은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예산안은 11월5일부터 열리는 충청남도의회 제362회 정례회에서 심의되며, 교육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거쳐 12월 15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 "충남 학생들, 직접 카메라 잡다…'미소진 영상교실' 인기 폭발"
"미디어로 배우는 세상, 영상으로 여는 진로…충남 '미소진 교실' 주목"

한류 열풍의 중심에 영화와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가 자리한 가운데, 충남교육청교육과정평가정보원(원장 오동규, 이하 평가정보원)이 학생들의 영상제작 호기심을 충족하고 진로 탐색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 중인 '미소진 영상체험교실'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평가정보원은 올해 '미소진 영상체험교실'에 총 48개교 688명의 학생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41개교, 지난해 44개교가 참가한 것과 비교해 약 9% 증가한 수치로, 학교 현장에서 입소문이 퍼지며 참여가 꾸준히 늘고 있다.
'미소진'은 '미디어로 소통하는 진로교육'의 약자로, 충남교육청이 2013년 대전에서 내포로 이전하며 방송국 수준의 영상시설을 구축한 이후 13년째 이어오고 있는 대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다.

체험교실은 △충남교육미디어센터 견학과정(초등) △영상제작과정(중등) △학교로 찾아가는 영상제작과정(초등) 등 3개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특히, 장비와 전문 인력이 부족한 읍·면 지역의 작은 학교를 직접 방문해 교육을 진행하는 '찾아가는 영상진로체험교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학생들은 촬영, 편집, 앵커 리딩 등 실제 방송 제작 과정을 체험하며 영상 콘텐츠 제작의 전 과정을 배우고 있다.
오동규 충남교육청교육과정평가정보원장은 "요즘 학생들이 문해력이 약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는 단순히 스마트기기 사용 때문이 아니라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디지털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학생들이 미디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스스로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해 미디어 리터러시를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