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테크특화센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평가 교육 성료
■ 카자흐스탄서 재활치료 인재 양성 특강 및 교육과정 개발 착수
![[프라임경제] 글로컬대학 대구보건대학교(총장 남성희) 헬스테크특화센터는 의료기기 인허가 과정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사용적합성평가'에 대한 지역 산업체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16일부터 17일까지 대학 라이프케어산업기술원 3층 강당에서'‘의료기기 사용적합성평가 이론 및 실습 교육'을 실시했다. ⓒ 대구보건대학교](https://www.newsprime.co.kr/data/photos/cdn/20250938/art_704905_1758162893.jpg)
[프라임경제] 글로컬대학 대구보건대학교(총장 남성희) 헬스테크특화센터는 의료기기 인허가 과정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사용적합성평가'에 대한 지역 산업체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16일부터 17일까지 대학 라이프케어산업기술원 3층 강당에서'‘의료기기 사용적합성평가 이론 및 실습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대구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의 '기업집적지 현장캠퍼스' 운영 과제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지역 의료기기 분야 재직자와 교직원 등 30여 명이 참여했다. 교육은 DNV 선임 심사원인 이용호 위원이 맡아 전문성을 더했다.
이틀간 총 12시간에 걸쳐 진행된 이번 과정은 사용적합성 개념 이해부터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공학 파일 작성을 위한 워크숍까지, 이론과 실습을 아우르는 깊이 있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특히, 이번 교육은 헬스테크특화센터에서 진행하는 첫 의료기기 인증 분야 교육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또, 교육에는 한달빛글로컬보건연합대학 소속인 대전보건대학교 특화센터 관계자도 참여해,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에서 특화센터의 성공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이석재 헬스테크특화센터장(방사선학과 교수)은 "이번 교육은 의료기기 기업 종사자들이 새로운 규제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높이는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센터는 기업 지원 품목과 분야를 확대하고, 특화 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역 의료산업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헬스테크특화센터는 이번 교육에 이어, 오는 10월18일부터 재직자를 위한 '의료기기규제과학 전문가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지역 산업계 지원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 카자흐스탄서 재활치료 인재 양성 특강 및 교육과정 개발 착수
대구보건대학교는 글로컬대학30 2차년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 8일부터 14일까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메디컬 대학교를 방문해 한국의 선진 재활치료 교육과정 수출을 위한 교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방문에는 대구보건대학교 김영근 교무처장(작업치료학과 교수), 김경돈 국제교류팀장(물리치료학과 교수), 이진환 물리치료학과 교수를 비롯해 광주보건대, 대전보건대 등 한달빛글로컬보건연합대학 교수진이 함께 참여했다.
방문단은 아스타나 메디컬 대학교 재학생과 현지 재활 전문가 70여 명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한국의 작업치료 소개 △근골격계 및 신경계 물리치료 등을 주제로 한 강의는 현지 참석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이어, 카자흐스탄 재활의학 심포지엄에 참석해 '대한민국 물리치료의 현황'을 주제로 발표하며 양국 재활의학 분야 전문가들과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특히 이번 방문을 통해 양교는 지속적인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합의했다. 대구보건대는 아스타나 메디컬 대학의 물리치료학과·작업치료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안서를 작성해 전달하기로 했으며, 카자흐스탄 재활협회는 이 과정에서 현지 보건복지부와의 연계를 약속했다.
또, 향후 '마스터 클래스' 운영과 '한국 초청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며 교류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김경돈 국제교류팀장(물리치료학과 교수)은 "이번 방문은 현지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부터, 한국의 재활 시스템을 선보이는 특강, 국가적 심포지엄 발표까지 다각적으로 진행됐다"며 "앞으로 글로컬대학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카자흐스탄에 표준화된 재활치료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양국 보건의료 발전에 기여할 재활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