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5주 만에 다시 커졌다. 강북의 비규제지역인 성동구, 광진구, 마포구 등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며, 6·27 대출 규제 이후 다소 주춤했던 상승세가 다시 탄력을 받고 있다.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9% 상승하며, 지난주(0.08%)보다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다. 6·27 대출 규제 이후 8월 첫 주(0.14%)를 제외하곤 상승폭이 줄어드는 양상이었으나, 이번 주 들어 5주 만에 반등하는 모습이다.
가장 큰 상승세를 보인 지역은 성동구였다. 성동구 아파트값은 이번 주 0.27% 올라, 지난주(0.20%) 대비 0.07%p 상승했다. 3주 연속 오름폭이 확대되며,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의 재개발 시공사 선정이 임박하면서 주변 지역까지 매수세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수동 고급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줄을 잇고 있다.
일례로 성수동1가 '트리마제' 전용 69.72㎡는 지난달 말 37억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 전용 59.99㎡ 역시 6월 실거래가 대비 4억원 이상 오른 28억5000만원에 매매됐다.
광진구는 광장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갭투자 수요가 유입되며 지난주 0.14%에서 이번 주 0.20%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마포구도 0.17% 상승해 지난주(0.12%) 대비 오름폭이 커졌다.
강북의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된 일부 지역에서도 상승세가 이어졌다. 노원구는 0.05%(전주 0.03%), 도봉구는 0.03%(전주 0.01%), 서대문구는 0.08%(전주 0.06%)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한편 규제지역인 강남권 일부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강남구는 0.15%로 지난주(0.09%)보다 오름폭이 커졌고, 서초구와 용산구도 각각 0.14% 상승했다. 다만 송파구는 0.19%에서 0.14%로 오름폭이 둔화됐다.
서울 아파트값 반등세에 따라 수도권 전체 상승폭도 지난주 0.02%에서 이번 주 0.03%로 소폭 확대됐다. 경기도는 변동 없이 보합세(0.00%)를 유지했으며, 인천은 10주 연속 하락세를 멈추고 보합 전환했다.
전국 기준 아파트값은 0.01% 올라 4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다만, 지방은 여전히 -0.02% 하락하며 지역 간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세 시장은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움직임이 감지된다. 서울의 전셋값은 0.07% 상승해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0.02%에서 0.03%로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