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유진그룹을 정조준하고 나서 이목을 끌고 있다. 언론시민사회단체들이 제기한 오너일가 사익편취 의혹과 관련해 현장조사를 실시하며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한 것이다. ‘친윤기업’이란 지적과 함께 여러 논란에 휩싸여왔던 유진그룹을 둘러싸고 더욱 긴장감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 유경선 회장 일가 사익편취 의혹… YTN 인수 관련 논란도 ‘가열’
재계 등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 8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유진기업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현장조사는 언론시민사회단체의 신고에서 비롯됐다. 90여개 언론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지난 6월 유진그룹의 사익편취 문제를 공정위에 신고했다. 유진그룹이 오너일가 일가 소유 기업을 부당지원했다는 것이다.

의혹의 중심엔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 일가가 소유하고 있던 천안기업이 있다. 천안기업은 2015년 당시 자산과 자본이 20억원대에 불과했음에도 유진빌딩을 645억원에 매입했는데, 이 과정에서 유진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유진기업이 760억원대 채무보증을 제공해 오너일가를 부당지원했다는 게 골자다.
또한 이후 천안기업은 매출의 약 90%가 해당 빌딩에 입주한 유진그룹 계열사로부터 발생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뿐만 아니라 유경선 회장 일가는 지난해 11월 천안기업 지분을 모두 유진기업에 넘기며 총 246억원을 지급받은 것으로 알려진다.
유진그룹의 그간 행보 및 최근 상황에 비춰보면 이번 공정위 현장조사는 더욱 예사롭지 않다.
유진그룹은 윤석열 정부 시절 정권 차원의 방송장악이란 지적과 여러 절차적 논란 속에 YTN을 인수하며 ‘친윤기업’ 중 하나로 평가된 바 있다. 특히 유진그룹의 인수 직후 YTN 사장으로 취임한 김백 전 사장은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YTN의 과거 보도들이 편파적이고 불공정했다며 대국민 사과를 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불명예 퇴진하고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가운데, 유진그룹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YTN 인수 관련 문제는 언론계는 물론 여당에서도 문제제기를 멈추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YTN 노조는 유진그룹의 YTN 인수와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한 관계자들을 대거 고발한 상태다. 한국기자협회도 7월 말 발표한 성명을 통해 “새 정부 언론 정책의 시발점으로 유진그룹의 언론계 퇴출을 두기 바란다”며 “유진그룹이 더는 YTN의 대주주로서 행세할 수 없도록 대주주 자격을 취소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다. 이제는 YTN을 국민의 품으로 돌려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과 김현 여당 간사도 해당 사안에 대한 국정조사가 필요하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밝힌 바 있다.
유진그룹을 둘러싼 파장은 향후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당장 공정위가 현장조사에 나선 직후인 9일엔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 ‘김건희 특검’에 ‘YTN 불법거래 의혹’ 등을 고발하고 나섰다. 이에 앞서 지난달 25일엔 YTN 노조가 유경선 회장 등을 배임 혐의로 고발하기도 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