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 15분 멈추면 근무도 멈춘다”… 엔씨소프트 새 제도에 업계 술렁

마이데일리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엔씨소프트가 10월부터 PC 입력이 15분 멈추면 근무시간 산정을 끊고, 복귀 시 ‘부재 사유’를 입력하도록 하는 새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회사는 “야근 줄이고 초과근로를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현장에서는 “게임은 안 만들고 직원만 감시한다”는 냉소가 터져나온다.

9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이 제도는 오는 10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키보드·마우스 입력이 15분 이상 없으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업무 중단’으로 처리하고, 다시 로그인하면 ‘회의·화장실·외근’ 등 항목을 선택해 부재 사유를 입력해야 한다.

비슷한 제도가 이미 다른 대형 게임사에서도 시행된 바 있다. 넥슨은 2019년부터 자리 비움 15분을 기준으로, 넷마블도 PC 비가동 15분을 기준으로 근무 시간을 구분했지만 당시에도 “효율 관리보다 감시에 가깝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게임업계가 전반적으로 위축된 상황에서 이런 제도가 나왔다는 점이 문제를 더 키운다. 신작 개발은 줄줄이 늦어지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도 흔들리는 가운데, 정작 엔씨소프트가 내놓은 해법이 ‘근무시간 통제’라는 점에서 “본질은 외면한 채 직원 탓만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로 엔씨소프트는 2024년 창사 이래 첫 적자를 기록한 뒤 대규모 구조조정까지 단행했다. 직원들의 사기는 떨어진 상태에서 근태관리 강화까지 겹치자 반발이 거세다.

업계에서는 효율을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결과적으로는 ‘감시’로 받아들여진다는 점이 문제다. 회의·외근처럼 PC를 쓰지 않는 시간은 업무로 인정되지 않고, 직원이 직접 사유를 입력해야 한다. 이는 정확한 기록보다 불신을 키우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정확한 기록은 필요하지만, 결국 중요한 건 직원들이 신뢰 속에서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이라며 “자율성을 해치면 인재 유출과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마우스 15분 멈추면 근무도 멈춘다”… 엔씨소프트 새 제도에 업계 술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