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RE+ 2025'서 SBB 신제품 공개…"美 시장 공략 박차"

마이데일리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RE+ 2025'에서 삼성SDI 임직원 모델이 SBB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SDI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삼성SDI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북미 최대 에너지산업 전시회 'RE+ 2025'에서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 최적화된 차세대 배터리 제품 라인업을 전격 공개했다.

삼성SDI는 9일(현지시간) △SBB △UPS △각형 △USA 프로덕션 △어워드 등 5개 전시 존을 구성하고, SBB 신제품을 비롯해 고출력 UPS용 배터리 및 독보적인 각형 배터리 기술력 등을 선보였다.

특히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미국 ESS 시장을 겨냥해 '올 아메리칸, 프루븐 & 레디'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미국 현지 생산 역량과 차별화된 ESS 기술력을 강조했다.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SBB 존에 전시된 차세대 SBB 제품 'SBB 1.7'과 'SBB 2.0'이다. 이번 전시에서 최초 공개된 이들 제품은 내년부터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다.

SBB 1.7은 에너지밀도가 향상된 삼원계 NCA 배터리가 탑재돼 SBB 1.5 대비 컨테이너 사이즈는 같지만 용량은 6.14MWh로 약 17% 늘어났다.

처음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탑재된 SBB 2.0도 공개됐다. SBB 2.0은 삼성SDI 고유의 각형 폼팩터에 차별화된 소재와 극판 기술을 적용해 기존 LFP 배터리의 단점인 낮은 에너지 밀도를 극복하고 안전성과 가격 등의 장점은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SBB는 20피트(ft) 크기의 컨테이너에 배터리와 안전장치 등을 설치해 고객 편의성과 성능을 극대화한 전력용 ESS 배터리 솔루션이다.

독자 개발한 함침식 소화 기술(EDI)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사전 고장 진단, 수명 예측 알고리즘 등 삼성SDI의 ESS 설계 노하우를 집약해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과 장수명을 확보했다.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내 ESS 보조금 수혜를 위한 현지 생산 조건이 강화되고 관세 영향으로 인한 공급망 리스크가 증가함에 따라 삼성SDI는 삼원계와 LFP 배터리 소재가 적용된 SBB 신제품의 현지 생산을 통해 미국 고객들의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SBB 1.7. /삼성SDI

부스 중앙에는 무정전전원장치(UPS)용 고출력 배터리 'U8A1'이 전시됐다. U8A1은 고출력 및 고에너지 밀도 구현으로 기존 제품 대비 공간 효율을 33% 높여 적은 수의 배터리로도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삼성SDI의 UPS용 배터리는 고유의 각형 배터리 폼팩터에 리튬망간산화물(LMO) 소재가 적용돼 고출력 성능과 안전성도 동시에 확보했으며, 미국 화재안전성 테스트(UL9540A)를 통과하기도 했다.

삼성SDI는 미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에 대규모로 투자하면서 UPS 수요가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 미국 현지에서 제품 혁신성을 널리 알린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각형 존에서는 삼성SDI가 오랜 기간 축적해 온 각형 배터리 기술력을 살펴볼 수 있다. USA 프로덕션 존과 어워드 존에서는 삼성SDI의 미국 시장 내 ESS 공급망 체계 및 ESS 제품들의 수상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 미국 시장에 최적화된 삼성SDI의 차별화된 ESS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축적된 각형 배터리 노하우와 현지 생산 역량을 통해 글로벌 최대 ESS 시장인 미국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SDI는 전시장 한편에 프라이빗 미팅룸을 별도로 마련하고 현지 고객들과 미팅을 진행할 계획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삼성SDI, 'RE+ 2025'서 SBB 신제품 공개…"美 시장 공략 박차"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