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구글이 한국 정부의 안보 요구를 전면 수용하고 국내 기업들과 지도 서비스 협력을 강화한다. 위성 이미지 속 보안 시설 가림에 이어, 한국 내 좌표 정보를 국내외 사용자 모두에게 비공개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확대하며 지도 데이터를 둘러싼 갈등을 봉합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구글은 9일 열린 간담회에서 티맵모빌리티, 에스피에이치(SPH) 등과 협력을 이어가며 국내 공간정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크리스 터너 구글 대외협력 부사장은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국내 파트너사와 함께 혁신적인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좌표 정보 삭제 등 한국 정부의 요구를 충실히 따르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그간 제기돼온 지도 데이터 반출 논란과 직결된다. 구글은 반출 신청한 지도 데이터가 이미 정부가 민감한 군사·보안 정보를 제외한 1:5,000 국가 기본도임을 강조하며, 위성 이미지 또한 상업 업체에서 구매한 자료임을 재차 설명했다. 그럼에도 민감 시설 가림과 좌표 삭제 등 추가 조치를 취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구글은 국토부·국토지리정보원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대학과도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공간정보 생태계 확대에 나서고 있다. 특히 국내 파트너사 SPH는 “글로벌 확장 경험과 역량을 기반으로 구글 지도와 함께 한국 공간정보 산업 발전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적 효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과 호서대 연구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반출이 허용될 경우 2026∼2030년 누적 18조4600억원의 매출 증가와 연평균 12.5%의 산업 성장률, 6%대 고용 성장률이 가능하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 지도 역시 이런 변화의 한 축이 될 것”이라며 “국내 이용자와 해외 관광객 모두에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