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판 붙은 인도…한국 새우등 터질까

마이데일리
/챗GPT

[마이데일리 = 최주연 기자] 미국이 인도에 관세 50%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양국 관계가 급격하게 냉각하는 가운데 한국의 대(對)인도 무역에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인도를 중국을 대체할 제조‧가공무역 기지로 점찍은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악재로 작용할 수 있으며 관세 피해 축소를 위해 유연한 전략이 요구된다.

6일 국제금융센터 ‘미국-인도 갈등 확대의 국제질서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인도의 무역 갈등에 인도의 글로벌 생산 거점 역할에 차질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이 인도에 주요국 중 가장 높은 50% 관세를 부과한 것에서부터 기인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 2월부터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무역 협상에 돌입했지만 6개월 이상 교착상태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세계경제분석실장은 “우리나라도 ‘차이나+1’의 일환으로 대(對)인도 수출 등을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인도발(發) 국제환경 변화를 인지해 미국 관세 피해 축소를 위한 유연한 전략이 요구된다”면서 “인도는 세계 3위 경제대국일 뿐 아니라 내수시장 잠재력과 고급 인력‧광물이 풍부하므로 해당 부문 협력을 확대하되, 관세 피해가 예상되는 직접 투자는 점진적으로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미국-인도 무역 갈등 요인은 인도에 대한 농산물 개방 압력이 꼽힌다. 인도는 자국민의 농업 고용 비중(전체 50%)이 높은 나라로 트럼프의 농산물 시장 개방 압력에 강경하게 맞서고 있다.

미국과 수년간 냉전 중인 러시아에 대한 경제‧군사적 지원도 미국과의 갈등을 심화하는 요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 및 무기 수입 비중이 40%에 육박하며 반대로 러시아는 인도를 통해 약 20%의 기술제품을 우회 수입하는 등 러시아의 경제‧군사적 안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인도가 코너에 몰릴수록 중국 중심의 글로벌 사우스(비서구권‧개발도상국 또는 제3세계 국가 통칭) 응집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이 실장은 “미국이 인도의 정적인 파키스탄과 밀착하는 동시에 인도가 자국 내 반미 정서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면서 양국 간 관세 마찰이 구조적 신뢰훼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모디 총리가 7년 만에 방중하는 등 동시에 국경무역을 재개키로 하는 등 기존 실리외교에서 글로벌 사우스 밀착 자세로 전환하면서 미국에 대항하는 그림자 연합이 형성될 소지가 있다”고 우려했다.

인도가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에서 후퇴할 가능성도 전망된다. 한국 무역의 다변화가 필요한 이유다.

이 실장은 “고율관세로 인해 이미 가격경쟁력이 낮은 인도 생산품에 비교우위가 추가로 악화하면서 제조‧가공무역 기지 활성화를 저해할 소지가 있다”면서 “대미 수출이 60% 저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미국과 한판 붙은 인도…한국 새우등 터질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