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美서 첫 대형 ESS 수주…2조원 규모 북미 진출 신호탄

마이데일리
SK온 미국법인 SK배터리아메리카(SKBA) 전경. /SK온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SK온이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미국에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를 따냈다. 약 2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 이번 계약은 현지 생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운 북미 시장 본격 진출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SK온은 4일 미국 콜로라도주 재생에너지 기업 플랫아이언 에너지 개발(Flatiron Energy Development)과 1기가와트시(GWh) 규모 ES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온은 2026년 매사추세츠주 프로젝트에 컨테이너형 ESS 제품을 공급하며, 같은 해부터 2030년까지 플랫아이언이 추진하는 총6.2GWh 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우선협상권도 확보했다. 협의 결과에 따라 최대 7.2GWh까지 공급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

업계는 ESS 1GWh당 매출 규모를 약 3000억 원으로 산출해 이번 계약 총액을 최대 2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본다.

SK온은 내년 하반기부터 미국 조지아주 SK배터리아메리카(SKBA) 공장에서 ESS 전용 LFP 배터리를 양산한다. 전기차 배터리 생산 라인의 일부를 ESS 전용으로 전환해 현지 고객 수요에 즉각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ESS 제품은 파우치형 LFP 배터리를 고전압 모듈 설계에 적용해 공간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열 확산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강화했다.

SK온은 지난해 말 ESS 사업실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격상하며 조직 역량을 키웠다. 이석희 대표는 “미국 ESS 시장 성장세에 맞춰 사업 영역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번 계약이 그 첫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업계는 이번 수주가 유럽에서 중국 업체들에 밀렸던 점유율을 회복하고, 글로벌 ESS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대진 SK온 ESS사업실장은 “이번 계약은 배터리 기술과 사업 포트폴리오를 동시에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현지 생산 기반을 앞세워 북미 ESS 시장에서 고객사를 추가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플랫아이언은 2021년 설립된 신생 재생에너지 개발사로, 부지 확보부터 설계·시공·운영까지 ESS 사업 전 과정을 맡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과 사모펀드 헐 스트리트 에너지(Hull Street Energy)가 주요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SK온, 美서 첫 대형 ESS 수주…2조원 규모 북미 진출 신호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