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5일제 원해" 연봉 1억 은행원들, 26일 총파업 예고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주 4·5일제 도입 등을 목표로 총파업을 예고했다. 일각에서는 평균 연봉이 1억원이 넘는 은행원들의 근무시간 단축 요구에 부정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이날 전(全)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찬성이 94.9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에 오는 16일 총력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26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파업이 예고대로 시행될 시 시중은행과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금융노조 소속 노조원들은 업무를 중단하게 된다. 다만 산별 중앙교섭이 진행 중인 만큼 합의가 이뤄지면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금융노조의 교섭 요구안은 △임금 5% 인상 △주 4·5일제 전면 도입 △신규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이다. 금융노조는 지난 2002년 금융권을 중심으로 도입된 주 5일제 시행 만큼 주 4·5일제 또한 선제적으로 진행되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저출산 해결을 위해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이 금융노조 측 설명이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지난 5년간 765개 점포가 폐쇄, 7000명이 넘는 인력이 줄어든 현실 속 그 부담은 고스란히 현장 노동자들에게 전가됐다"며 "임금인상률은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했고 신규 채용 확대 약속도 지켜지지 않았다. 주 4·5일제는 금융산업 노동자들만을 위한 제도가 아닌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 사회 전반의 행복을 높이기 위한 변화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구조적 문제와 노동환경 악화에 대한 현장 분노의 압도적 결과"라며 "94.98%의 높은 찬성률은 사회 전체가 더 나은 노동환경과 삶의 질을 바라는 열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일각에서는 금융노조 파업 예고에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평균 연봉 1억원에 달하는 이들의 근무시간 단축 요구가 과하다는 지적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1인당 근로소득은 1억1490만원이었다. 

은행권 파업 요구가 빈번하다는 점 또한 부정적 여론이 일었다. 금융노조는 지난해에도 출근 시간을 30분 늦춰 달라며 영업시간 조정을 요구, 총파업을 예고했다. 당시 파업 찬성률은 95%. 당시 노사가 일부 근무 조건 개선에 합의하면서 예정했던 파업은 직전에 철회됐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주 4·5일제 원해" 연봉 1억 은행원들, 26일 총파업 예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