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롯데손해보험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지급여력비율(K-ICS) 산출 과정에서 자의적 해석 등 내부통제 부실이 드러나며 경영유의 조치를 통보받았다. 특히, 실제보다 높은 지급여력비율 산출 사실이 확인되면서 최고경영자인 이은호 대표의 리스크 관리 책임이 도마에 올랐다.

금감원에 따르면 롯데손보는 K-ICS 비율 산출 시 위험경감 효과를 반영하면서도 문서화 등 기본 원칙을 지키지 않아, 지난해 6월 말 기준 K-ICS 비율이 173.1%로 보고됐으나 실제로는 146.8%에 불과했다. 권고치(150%)에도 미달하는 수치다.
롯데손보는 대주주 빅튜라 인수 과정에서 진행된 중순위·선순위 대출 심사에서도 부실을 드러냈다. 누적 채무 상환능력 평가 없이 담보 설정 없는 대출을 실행하는 등 투자 검토와 리스크 관리가 미흡했다는 평가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에서도 사후관리 조직이 평가 결과를 자산운용위원회에 보고하지 않고, 자료도 보관하지 않아 체계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금감원은 이외에도 정보 처리 위수탁 관리, 광고 사전심의, 전자금융사고 대응, 노후 전산서버 관리 등 총 17개 분야에서 개선 필요성을 지적했으며,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내달 정기 시정조치를 결정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롯데손보가 향후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급여력비율 산출 기준을 정확히 적용하고, 검증 및 확인 체계를 보완하는 등 내부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롯데손보 홍보팀은 프라임경제에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17건의 내부통제 지적과 관련해 "별도의 입장은 없다"며, 지급이력 관련 언론 문의에 대해 "담당 부서 없이 홍보팀이 직접 설명하고 있다"며, 모든 질의에 자유롭게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설명은 지급이력 공개와 관련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회사는 투명한 정보 제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업계에서는 지급여력비율과 투자 심사 절차 부실이 동시에 드러나면서 이은호 대표의 리스크 관리 책임과 함께, 롯데손보의 신뢰도와 재무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금감원 보험검사 관계자는 "경고 차원에서 경영유의 조치를 통보했다"고 전하며, 향후 재발 방지와 내부통제 강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롯데손보는 향후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급여력비율 산출 기준을 정확히 적용하고, 검증·확인 체계를 보완하는 등 내부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내달 정기 시정조치를 결정할 예정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