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순방 경제사절단에 동행해 미국에서 식품·뷰티·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 협력을 도모했다.
25일(현지시간) 오후 이재현 회장은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에 참석했다. 이재현 회장은 이재명 대통령 미국 순방 경제사절단 기업 총수 중 유일하게 K-푸드·컬처 대표 기업인으로 참석했다. 앞서 2023년에도 이 회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미국 순방에 대기업 총수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바 있다.
이날 행사에서 이재현 회장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사미르 사맛 구글 사장, 찰리 리브킨 미국영화협회 회장 등을 만났다. 이재현 회장은 이 자리에서 CJ(001040) 계열사의 미국 내 사업 전략과 투자 현황을 공유하고 협력을 다진 것으로 전해진다.
CJ는 그간 미국을 글로벌 사업의 핵심 거점으로 삼고 식품, 콘텐츠 등 사업을 확대해 왔다. 1978년 로스엔젤레스(LA)에 사무소를 개설한 이후 현재는 식품, 바이오, CJ푸드빌, CJ ENM, CJ프레시웨이(051500) 등 7개 사업을 영위했다. 현재까지 누적투자 금액만 8조원에 달한다.
특히 CJ제일제당(097950)의 경우 과감한 투자와 현지화 전략으로 지난해 기준 미국 매출 4조7138억원을 달성했다. 현지 식품 기업 △슈완스 △카히키 △TMI 등을 적극적으로 인수해 오며 현지 판매 채널 확장 및 생산 시설을 확보하고 있다. 그 결과, CJ제일제당은 미국 전역을 아우르는 20개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다. 미국 주요 유통채널에 비비고 만두, 김치 등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국내 베이커리 업계 중 최초로 미국에 진출한 CJ푸드빌의 뚜레쥬르 역시 7년 연속 흑자 기록 중이다. CJ푸드빌은 30개 주 170개 점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말에는 조지아 공장까지 준공 예정으로 연간 1억개 생산능력까지 갖출 전망이다.
CJ ENM(035760)도 2022년부터 미국 콘텐츠 제작사 피프스시즌(옛 엔데버콘텐트) 인수로 글로벌 멀티 스튜디오 체제를 구축했다.
CJ CGV(079160)는 특별관 기술을 앞세워 현재 미국 국내 4DX 59개관, SCREENX 89개관 총 148개 스크린 운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미국을 포함한 북미 시장에서 지난해 대비 47% 성장하며, 역대 최대 박스오피스를 달성한 바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