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갑다” 불만에도… 챗GPT, 한국서 역대 최고치 찍었다

마이데일리
챗GPT-5. /AI 생성 이미지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챗GPT가 ‘GPT-5’ 출시 직후 성능 논란과 이용자 불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역대 최고 일일활성이용자(DAU)를 기록했다. 초기 이탈을 빠르게 만회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22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챗GPT의 국내 앱 DAU는 333만656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비스 출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GPT-5는 지난 8일 공개 직후 “딱딱하고 차갑다”는 혹평을 받으며 이용자가 급감했다. 8일 316만명이던 DAU는 9일 292만명, 10일 289만명까지 떨어졌다. 기존처럼 GPT-3.5, GPT-4o, GPT-4.1 등 모델을 선택할 수 없고, 무조건 GPT-5만 배정되는 방식이 도입되면서 불만이 커졌다. “친숙했던 GPT-4o를 더 이상 쓸 수 없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오픈AI는 곧바로 ‘레거시 모델’ 메뉴를 복원하고, GPT-5에 따뜻한 성격 모드와 장시간 대화 시 휴식을 권유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단일 모델은 없다”며 “출시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다”고 인정했다.

조치 이후 국내 이용자는 빠르게 돌아왔다. 11일 324만명, 12일 327만명으로 반등한 뒤 18일 333만6563명까지 치솟으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불과 일주일 새 약 50만명이 늘어난 셈이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GPT-5는 출시 초기 철자 오류와 기초 지식 오답으로 완성도 논란이 있었지만, 최근 주간 이용자가 7억명을 넘었고, 유료 구독자도 500만명을 돌파했다. 특히 인도 등 신흥국에서는 월 4.6달러(약 6400원)의 저가 요금제를 앞세워 가입자를 빠르게 확보 중이다.

AI 업계 관계자는 “챗GPT는 지브리 프로필 열풍을 계기로 대중적 인지도를 쌓은 뒤 업무·학업·일상 전반으로 확산됐다”며 “전문 연구나 고도의 개발 영역을 제외하면 일반 이용자들은 이미 검색·질문·글쓰기에 챗GPT를 습관적으로 쓰고 있어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은행도 18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국내 근로자의 절반 이상(51.8%)이 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주당 평균 1.5시간의 근로시간을 줄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생성형 AI 확산이 2022년 말 이후 국내 GDP 성장률을 최대 1%포인트 끌어올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의 AI 활용률(51.8%)은 미국(26.5%)의 두 배에 달한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차갑다” 불만에도… 챗GPT, 한국서 역대 최고치 찍었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