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방무인로봇·AI 분야'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을 통해 양성된 석사 학위자 14명이 최초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광운대학교에서 배출됐다.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 이하 방사청)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소장 손재홍)는 방위산업의 국방첨단전략산업화를 이끌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국방무인로봇·AI 분야' 방위산업 계약학과의 제1회 학위수여식을 주관대학별로 21일 서울과기대, 26일 광운대에서 각각 개최한다고 밝혔다.

각 대학은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을 통해 대학별 연구성과와 경험을 바탕으로 산업현장 중심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했으며, 특히 채용조건형으로 입학한 학생은 학위 과정 이후 채용 협약잉 체결돤 방산 기업에 입사해 관련 분야 연구를 이어가게 된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김동환) 국방인공지능응용학과는 방산기업과의 주기적 간담회 개최와 학생-기업 연계 프로젝트 등을 통한 산학협력 중심의 교육으로 국방인공지능 특화 연구역량을 보유한 우수인력을 양성했다.
또 광운대학교(총장 윤도영) 국방AI로봇융합학과는 지난 2007년 개설된 모체학과인 '방위사업학과'와의 연계를 통해 전공·학과간 제약이 없는 융합적인 연구지도와 협업 프로젝트 등을 수행해 방산분야 계약학과만의 차별성을 확보했다.
김일동 방사청 방위산업진흥국장은 "지능형 전장인식·판단, 자율임무수행 등을 통한 미래 전장의 우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방 인공지능·무인로봇 분야 연구인력 양성이 필수적"이라며 "정부는 방산분야 첨단 연구인력 확보를 위해 방산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정책과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방사청은 지난 7월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 성과 발표회'를 개최해 방산 첨단분야 인력양성 사업의 주요성과 확인과 우수 연구·활동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으며, 행사 간 도출된 주요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센서·전자기전 △첨단소재 △사이버·네트워크 등 국방신사업과 10대 국방 전략기술 중심으로 연구인력 양성 분야를 확대할 예정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