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퀄컴 테크날러지스는 세계 최초로 협대역 비지상 네트워크(NB-NTN) 위성 연결을 지원하는 스냅드래곤 W5+ 2세대 및 W5 2세대 웨어러블 플랫폼을 공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들 플랫폼은 셀룰러 및 와이파이 연결 범위를 벗어난 지역에서도 위성을 통해 양방향 메시지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오지나 외진 지역에서도 웨어러블 기기로 긴급 상황 시 SOS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스냅드래곤 W5+ 2세대와 W5 2세대는 각각 저전력 코-프로세서 포함 버전과 미포함 버전으로 출시됐다. 두 플랫폼 모두 4나노 시스템 온 칩(SoC)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위치 머신 러닝 3.0 기능을 탑재해 이전 세대 대비 GPS 위치 정확도를 최대 50% 향상했다. 또한, 최적화된 RF 프론트엔드(RFFE)를 적용해 크기와 전력 소비를 약 20% 줄임으로써 OEM 제조사들이 보다 작고 효율적인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냅드래곤 W5 2세대는 구글의 최신 웨어 OS(Wear OS)와 호환되며, ‘메이드 바이 구글’ 행사에서 공개된 구글 픽셀 워치 4에 첫 탑재됐다. 이로써 멀티 디바이스 경험과 고급 기능, 원활한 통합 환경을 제공한다.
퀄컴 웨어러블 및 혼합 신호 솔루션 부문 본부장 디노 베키스는 “스냅드래곤 W5+와 W5 2세대 플랫폼을 통해 웨어 OS가 최초로 NB-NTN을 통합한 운영 체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웨어러블 기술 분야의 선도적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기술은 가장 외진 지역에서도 위성을 통해 긴급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 통신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강화하는 퀄컴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스냅드래곤 W5+ 2세대 및 W5 2세대 플랫폼은 스카일로(Skylo)의 협대역 비지상 네트워크를 활용해 위성 연결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가 닿지 않는 지역에서도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긴급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험가들은 위급 상황에서 모바일 네트워크 연결 여부에 상관없이 웨어러블 기기로 SOS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스냅드래곤 W5 2세대가 탑재된 픽셀 워치 4의 위성 SOS 기능은 모든 국가와 지역에서 제공되지 않으며, 활성화 후 2년간 추가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기, 위치, 연락처 정보는 구글과 긴급 서비스, 위성 서비스 제공 업체와 공유될 수 있다.
이번 플랫폼은 저전력 설계와 소형화에 최적화된 RF 프론트엔드를 적용해 배터리 수명 연장과 날렵한 디자인 구현을 지원한다. 위치 머신 러닝 3.0 기술을 통해 도심 밀집 지역이나 깊은 협곡 등 GPS 수신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위치 정확도를 크게 높였다.
퀄컴은 이번 스냅드래곤 W5+ 2세대 및 W5 2세대 웨어러블 플랫폼을 통해 연결성, 효율성, 폼팩터, 위치 추적 기능을 한층 강화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