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일본 전국이 기록적인 폭염에 시달리며, 열사병 피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환경성(環境省)과 기상청(気象庁)은 5일, 일본 47개 도도부현 중 44곳에 열사병 경계경보(熱中症警戒アラート)를 발령했다고 발표했다. 2021년 전국 단위 운용 개시 이후, 가장 많은 지역에 동시에 경보가 내려진 것이다.

이번 경계경보는 기온과 습도, 일사량 등 복합지수를 기반으로 산출된 ‘더위 지수(WBGT)’가 각 현의 관측지점 중 하나라도 ‘33 이상’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될 때 발령된다. 실제로 5일 기준, 홋카이도(北海道), 아키타(秋田), 고치(高知)현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 ‘실내 냉방 공간 활용’ ‘수분·염분 보충’ 등 폭염 대응 행동이 강력히 권고됐다.
특히 군마(群馬), 사이타마(埼玉)현 등 내륙 지역에서는 최고기온이 40도 이상 오를 것으로 전망돼, 추가 인명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본 남쪽에 위치한 고기압 영향으로 한반도와 일본 열도 전역에 따뜻한 공기가 대량 유입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이러한 폭염 여파로 7월 21일부터 27일까지 단 1주일간 1만 804명이 열사병 증세로 응급 이송됐고, 이 기간 16명이 숨졌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55.6%를 차지하며, 환자 절반 이상이 실내에서 열사병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6월 중순 이후 폭염이 이어지면서, 올여름 누적 병원 이송자 수는 9만 명을 넘어서고, 사망자 역시 120명 이상으로 집계된다.
전문가들은 “올해는 평년보다 2도 이상 높은 기온이 이어지고, 대도시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 노인층 밀집 지역에서도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며, “냉방기기 적극 사용과 규칙적인 수분·염분 보충, 불필요한 야외활동 자제 등 폭염 대응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와 각 지자체는 학교·복지시설·요양원 등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냉방시설 점검과 응급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등 추가 피해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포인트경제 도쿄 특파원 박진우 기자]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