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정부는 미국에 30일(현지시간 29일) 도착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을 만나 통상 협의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 부총리가 김정관 장관, 여한구 본부장과 함께 29일 오후 3시(현지 시간)부터 2시간 동안 미국 상무부에서 러트닉 장관과 통상협의를 했다.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한 직후 구 부총리는 러트닉 장관과의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지며, 31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다음 달 1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에 앞서 최종 담판 성격의 통상 협의를 앞두고 있다.
구 부총리는 인천공항에서 방미길에 오르면서 "국익 중심으로 한미간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상안이 마련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한국이 준비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한국 상황을 잘 설명하고, 조선업 등 한미간의 중장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도 잘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도착 3시간 만에 러트닉 장관과 긴급 회동에 나선 구 부총리는 베선트 장관과의 최종 담판을 앞두고 양국간 협상안을 조율한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최근 스코틀랜드에서 한국 당국자들을 만나 "(협상안에) 모든 것이 담겨 있어야 한다"며 최선의 최종 협상안을 제시할 것을 요청했다.

현재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두 사람은 러트닉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수행차 스코틀랜드를 방문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현지로 이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은 조선업 협력과 에너지 수입 확대, 농축산물 시장 개방 등의 협상 카드를 놓고 미국과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8월 1일까지 통상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한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은 미국과의 합의를 통해 유럽연합(EU)과 일본과 같은 수준인 15% 이하로 관세율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이날 워싱턴DC에 입성했는데 한미 관세협상을 측면에서 지원하는 활동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 회장은 이날 오후 5시께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으로 입국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해외 기업들의 대미투자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세 협상을 측면 지원하기 위해 현지 기업들과 협력 논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