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청소년 흡연 행태가 액상형 전자담배 위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여학생들의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은 일반담배(궐련)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청소년기 음주 경험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증가했는데, 술을 처음 마시게 된 이유는 절반 상당이 가족 등 주변 어른들의 권유 때문이라고 답했다.
질병관리청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시한 '청소년건강패널조사' 1∼6차(초6∼고2) 통계 주요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청소년건강패널조사는 2019년부터 전국의 초등학교 6학년 5051명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추적해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등 건강 행태 변화를 파악하는 조사다.
조사 결과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이 증가했다. 고1 남학생(2023년) 담배 제품별 현재 사용률의 경우 궐련은 2.12%, 액상형 전자담배 1.19%, 궐련형 전자담배 0.65%였다. 이어 고2로 진학하면서 궐련 5.50%, 액상형 전자담배 3.57%, 궐련형 전자담배 1.67%로 담배 사용률이 늘었다.
고1 여학생의 경우 궐련 1.19%, 액상형 전자담배 0.94%, 궐련형 전자담배 0.24%였으나 고2가 되면서 궐련 1.33%, 액상형 전자담배 1.54%, 궐련형 전자담배 0.32%로 흡연 증가 추세를 보였다.
남학생은 여전히 궐련이 담배 제품 선호도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여학생은 궐련에서 액상형 전자담배로 담배 제품 선호도가 바뀌었다.
액상형 전자담배 현재 사용자 중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사용 분율은 남학생(17.5%)보다 여학생(51.6%)에서 약 2.9배 더 높았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의 금연 시도 경험은 50.2%로 궐련 흡연자의 금연 시도 경험(75.1%)보다 낮았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의 30%는 '전혀 끊을 생각이 없다'고 했으며 궐련은 13.2%, 궐련형 전자담배는 17.0%였다.
청소년 흡연의 77.3%는 박하향 등이 첨가된 가향담배로 처음 시작했다. 평생 흡연을 경험한 청소년은 초6 학생 0.35%에서 고2 학생 9.59%로 5년간 9.23%포인트(p) 증가했다. 현재 흡연율은 초6 학생 0.01%에서 고2 학생 4.20%로 5년간 4.19%p 늘었다.
평생 한 모금이라도 술을 마신 경험률은 초등학교 6학년(36.4%)이 중학교 1학년(34.5)%으로 진학하는 동안 1.9%p 감소했으나 중3 40.9%, 고1 55.0%, 고2 60.8%로 증가했다. 잔 기준으로 음주를 경험한 학생은 지난 5년간 26.2%p 늘었다.

현재까지 술을 마시는 비율은 초6 0.7%, 중1 1.0%, 중2 2.1%, 중3 3.6%, 고1 5.3%, 고2 8.3%로 지난 5년간 7.6%p 증가했다. 술을 한두 모금이라도 신규로 마신 경험자의 비율은 중학교 1학년으로 진급할 때가 15.6%로 가장 높았다.
식생활은 고학년으로 진급할수록 지속적으로 악화했다. 고2의 주 5일 이상 아침식사 결식률은 33.0%였으며 32.1%는 주 3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먹었다. 주 3회 단맛 음료를 섭취하는 청소년도 66.6%나 됐다. 반면 1일 1회 이상 과일 섭취율은 15.5%, 1일 3회 이상 채소 섭취율은 6.8%에 그쳤다.
최근 12개월 내 학교에서 흡연 예방 및 금연 교육을 한 비율은 초6 95.9%에서 고2 68.6%로 감소했고 음주 예방 교육도 75.4%에서 45.2%로 줄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청소년의 담배 제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학생의 경우 기존 궐련보다 액상형 전자담배를 더 선호하는 양상이 뚜렷이 나타났다"며 "청소년 협연 예방을 위해 제품 유형별 규제 강화 정책적 대응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