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최주연 기자] 정치권과 금융당국이 주도하는 원화의 디지털화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기존 디지털화폐연구실 명칭을 디지털화폐실로 변경하기로 했다. 기존 명칭에서 ‘연구’를 빼 실용화를 전제로 한 사업 부서라는 점을 부각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최근 이창용 한은 총재는 미래의 원화는 디지털 화폐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앞서 한은은 ‘가상자산반’을 신설해 최근 뜨겁게 회자되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입법 논의에 대응한다고 밝힌 바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각국의 법정화폐나 금, 채권 등 실물 자산에 가치를 연동해 만든 가상화폐다.
2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31일부터 디지털화폐연구실을 디지털화폐실로, 디지털화폐기술1팀과 기술2팀도 디지털화폐기술팀과 디지털화폐인프라팀으로 각각 바꾼다. 한은은 ‘연구만 하는 부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했다’고 변경 이유를 설명했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관련 사업을 전담했던 디지털화폐연구실은 디지털 화폐 활용성 테스트(프로젝트 한강)를 주도했고 달러‧엔화 등 스테이블코인 전환의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 조직 위상이 격상됐다. 디지털화폐연구부→디지털화폐연구실→디지털화폐실로 이어진다.
‘프로젝트 한강’ 1차 테스트는 지난달 말 비교적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그러나 장기 로드맵 부재, 은행이 짊어져야 하는 비용 부담 등으로 2차 테스트는 잠정 중단됐다.
한은은 CBDC 기반의 예금토큰이 시중 은행 중심의 스테이블코인과 다름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한은이 발행하는 예금토큰과 비은행의 스테이블코인은 발행 주체만 다를 뿐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프로젝트 한강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안전하게 도입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든 예금토큰이든 미래에는 디지털화한 화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은 스테이블코인 연내 법제화를 위해 법안 발의를 마쳤다. 지난달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에 이어 전날 같은 당 안도걸 의원과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각각 관련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여당 간사인 강준현 의원도 새로운 법안 발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