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킷헬스케어, 복합장기 바이오프린터 美 특허등록 결정…무첨가 저온성형 韓, 中 특허까지 '완료'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로킷헬스케어(376900)가 미국·한국·중국 등지에서 장기재생 분야 특허 성과를 내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장기재생 플랫폼 기업 로킷헬스케어는 올해 6월 말 복합 장기 3D 바이오프린터 기술에 대해 미국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또한 최근 외부 첨가물 없이 저온 성형 방식의 조직 재생 기술에 대해 한국·중국 특허도 등록을 완료했다고도 덧붙였다. 이를 통해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 분야에서 최첨단 수준의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는 평가다.

이번 미국 특허는 5종의 바이오잉크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이다. 구조가 복잡한 심장, 간, 췌장 등의 복합 장기를 수술실에서 직접 출력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를 통해 로킷헬스케어는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분야 글로벌 퍼스트 무버로서 확고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미국 특허는 다양한 세포, 성장인자 및 세포외기질(ECM) 등 최대 5가지 바이오잉크를 생체적합하고 정밀하게 제어하고 출력할 수 있는 다중 프린팅 기술이다. 

NFC 자동 인식 시스템으로 바이오잉크별 온도·압력·점도를 자동 조정하고 밀폐형 이산화탄소(CO₂) 챔버 내에서 생체 인큐베이션 환경을 구현한다. 

고배율 카메라 기반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으로 바이오프린팅의 미세 오차를 자동 검출 및 제어해 심장, 췌장, 간 등 복합 고정밀 장기 조직을 수술실에서 '수술 중(Just In Surgery)'으로 제작 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AI 초개인화 환자 맞춤 장기재생의 적용 영역을 크게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로킷헬스케어는 이번에 한국과 중국에서 특허 등록을 완료한 '자가 조직을 활용한 무첨가 저온 성형' 방식의 조직 재생 패치 제조 기술에 대해서도 미국에서 특허 심사 진행 사실도 알렸다.
 
해당 기술은 외부 의료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초개인화 생체 유래 물질만을 활용해 '수술 중' 및 최소한의 조작으로 인체 장기재생 조직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이는 미국 FDA, 유럽 EMA 등이 강조하는 줄기세포 조작에 따른 암 발생 모니터링 규제 만족 및 생체 안전성 확보에 부합되는 기술로, 향후 바이오프린팅 장기재생 개발 및 허가 과정에서 허가 기간 단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킷헬스케어 관계자는 "이번 특허 기술들은 단순한 바이오프린팅을 넘어 최첨단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의 핵심 경쟁우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복합장기 프린팅 기술과 저온 성형 기술을 통합해 다양한 복합 장기 플랫폼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재생의료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고 이 분야 '퍼스트 무버'로서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로킷헬스케어, 복합장기 바이오프린터 美 특허등록 결정…무첨가 저온성형 韓, 中 특허까지 '완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