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철강업계 전반이 큰 어려움을 마주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제철이 2분기 흑자전환을 이루는 등 실적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제철은 지난 24일 2분기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이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조9,456억원, 영업이익 1,018억원, 당기순이익 37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으나 직전인 올해 1분기보단 6.9%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비 대비 3.9% 늘어나는 한편, 올해 1분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현대제철 측은 제품 판매량 증가와 원료가격 하락, 자회사 실적 개선 등을 이 같은 실적의 배경으로 꼽았다.
하반기에도 사업여건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지만, 2분기를 기점으로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현대제철은 “글로벌 철강 시황은 상반기 수요 위축 등으로 부진했으나, 하반기 중국의 철강 감산 및 경기 부양책 시행 등으로 개선이 기대된다”며 “저가 철강재 국내 유입량 감소, 정부의 경기부양책 시행에 따라 점진적으로 하반기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하반기에도 흑자 기조를 이어가기 위해 수요 기반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현대제철은 전기로-고로 복합프로세스 투자와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현재 내년 1분기 탄소저감 제품 양산을 목표로 전기로-고로 복합프로세스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복합프로세스 생산체제가 구축되면 탄소저감 강판 생산이 가능해져, 신규 고객 확보가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대제철은 올해 상반기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열처리 설비 개조 등을 통해 3세대 강판 생산체제를 구축해 고부가 자동차강판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3세대 강판은 고성형성과 고강도를 동시에 구현한 차세대 모빌리티 핵심 소재로, 현재 국내외 주요 고객사의 제품에 적용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한편, 현대제철은 해외 완성차사를 겨냥한 마케팅을 한층 강화해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리기로 했다. 해외 고객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탄소저감 제품 생산 기술력과 복합프로세스 공정의 경쟁력을 앞세워 유럽 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전기로-고로 복합프로세스 투자와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등을 통해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