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적으로 타격 페이스 안 좋아" 위기의 롯데…2G 병살타 9개, 아무리 잘 막아도 이길 수가 없다 [MD잠실]

마이데일리
롯데 자이언츠 나승엽./마이데일리롯데 자이언츠 전민재./마이데일리

[마이데일리 = 잠실 박승환 기자] '4개, 5개'

롯데 자이언츠는 18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2025 신한은행 SOL Bank KBO리그 LG 트윈스와 팀 간 시즌 9차전 원정 맞대결에서 1-2로 석패하며, 2연패를 기록했다.

전반기 막바지 팀 전체적으로 타격감이 눈에 띄게 떨어진 모습이었던 롯데. 올스타 브레이크를 통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돌아왔지만, 후반기 첫 경기에서 타선은 여전히 살아나지 않은 모습이었다. 김태형 감독도 경기에 앞서 "지금 전체적으로 타격 페이스가 초반보다는 안 좋다"고 우려했는데, 현실이 된 것이다.

이날 롯데는 1회초 황성빈의 안타와 도루 등으로 만들어진 2사 3루에서 전준우가 LG 선발 손주영을 상대로 선취점을 뽑아내며 기선제압에 성공했다. 후반기의 시작이 좋았다. 그런데 이 점수가 롯데가 뽑은 처음이자 마지막 점수가 될 것이라는 건 아무도 알지 못했다.

롯데는 2회에도 선두타자 유강남이 안타를 쳐 포문을 열었다. 그런데 후속타자 나승엽이 삼진으로 물러나더니, 전민재가 유격수-2루수-1루수로 이어지는 병살타로 찬물을 끼얹었다. 문제는 이게 시작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롯데는 1-2로 뒤진 3회 1사 1, 3루의 동점 찬스를 잡았는데, 이번에는 빅터 레이예스가 병살타로 좋은 흐름을 끊어먹었다.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롯데는 6회 레이예스의 2루타로 1사 2루에서 전준우가 잘 맞은 타구를 만들어냈다. 그런데 이 타구가 유격수 글러브에 빨려 들어가더니, 2루 주자까지 아웃되는 더블플레이로 연결됐다. 운 마저 따르지 않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롯데는 7회초 1사 1루에서는 나승엽이 더블플레이를 기록했고, 9회초 1사 1루에서는 전준우가 병살타로 고개를 숙였다.

한 경기에서 3개의 병살타를 쳐도, 경기에서 이길 확률이 희박하다고 볼 수 있는데, 5개의 더블플레이를 기록한 롯데는 도무지 이길 수가 없었다. 그런데 롯데 타선이 이렇게 무기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롯데는 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두산 베어스전에서도 무려 4개의 병살타를 기록하며 무릎을 꿇었다. 이를 더하면 2경기에서 롯데는 무려 9개의 더블플레이를 당한 것이다.

롯데 자이언츠 김태형 감독./마이데일리롯데 자이언츠 빅터 레이예스./마이데일리롯데 자이언츠 전민재./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나승엽./롯데 자이언츠

'복덩이' 외인 레이예스의 타격감이 왔다 갔다하고 리그 병살타 1위(16개)에 올라 있는 것도 치명적이지만, 가장 큰 문제는 나승엽과 전민재의 침묵이 너무나도 길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전민재는 올 시즌 초반 타격 1위를 기록할 정도로 뜨거운 스타트를 끊었으나, 키움 히어로즈전에서 헤드샷 부상을 당하고 돌아온 뒤 좋았던 흐름이 완전히 사라졌다.

전민재는 6월 한 달 동안 17안타 타율 0.210으로 허덕이더니, 7월에는 9경기에서 타율 0.133을 기록하는데 그치고 있다. 누가 보더라도 타석에서 투수에게 덤벼들고, 조급함이 느껴지고 있다. 김태형 감독은 경기에 앞서 "(헤드샷을) 맞고 나서 많이 못 들어가더라. 다리는 들어가는에 얼굴이 못 들어가더라. 본인도 그걸 알고 있는데, 이겨내야 한다. 사실 6월부터 타격이 굉장히 안 좋았다. 이렇게 풀타임으로 뛴 적이 없으니까… 본인이 많이 느끼고 잘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나승엽도 감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나승엽은 4월 일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무려 7개의 홈런을 터뜨리며, 지난해 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펄펄 날아올랐다. 그런데 지나치게 홈런을 의식한 탓일까. 5월부터 나승엽의 타격감이 바닥을 찍었고, 재정비 차원에서 2군으로 내려갔을 때 눈 부상을 당하면서 공백기를 갖고 돌아온 뒤에도 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나승엽의 5월 타율은 0.195, 6월 0.200, 7월에는 0.143으로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을 정도로 부진한 모습. 이날도 전민재와 나승엽은 각각 한 개씩의 병살타를 기록했다.

마운드보다는 적극적인 타격으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롯데. 때문에 팀 병살타 압도적 1위(91개)는 어쩔 수 없지만, 한 경기에서 4~5개의 병살타가 나오는 흐름이 이어진다면, 지금까지 벌어뒀던 승·패 마진을 순식간에 깎아먹을 수 있다. 부상자들이 하나둘씩 돌아오고 있는 상황에서 롯데가 '팀 타선 부진'이라는 위기에 처했다.

롯데 자이언츠 김태형 감독./마이데일리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체적으로 타격 페이스 안 좋아" 위기의 롯데…2G 병살타 9개, 아무리 잘 막아도 이길 수가 없다 [MD잠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