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30여 년간의 보건의료 행정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보건복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8일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정 후보자는 그간 질병관리청장과 보건복지부에서 감염병 대응, 중증외상 진료체계 구축 등 공공보건의료 전반을 총괄했던 경험을 소개하며, “국민의 생명과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해 복지 정책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감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 양극화, 인구 고령화, 필수의료 위기 등 복지부가 직면한 과제는 막중하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4대 중점 과제를 직접 제시했다.
먼저, 정 후보자는 “복지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아동수당 확대와 기초연금 제도 내실화를 통해 생애주기별 소득 보장 체계를 확립하고, 아프면 쉴 권리를 위한 상병수당도 확대하겠다”며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복지 신청 절차도 대폭 간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돌봄은 더 이상 가족만의 책임이 아니다. 국가가 책임지는 돌봄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의료·요양·돌봄이 통합된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요양병원 간병비에 건강보험 적용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발달장애 아동의 조기 개입,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확대, 위기청년과 입양 체계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보건의료 개혁도 주요 과제로 내세웠다. 정 후보자는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기 위해 의료개혁에 나서겠다”며,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를 도입해 적정 인력 규모를 과학적으로 예측하고, 지역 필수 의료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립대병원을 복지부 소속으로 이관해 공공의료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하고, 비대면 진료는 환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함께 보장하는 방식으로 제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미래를 준비하는 보건복지, 지금부터 시작하겠다”며 “고령사회에 대응한 노인 공공일자리 확대, 난임·임산부 정서 지원, 연금개혁 논의 참여를 통해 다층 노후소득 보장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K-바이오 백신 펀드 등 국가 차원의 투자와 보건의료 R&D 확대,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마련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 국민의 삶이 보다 건강하고 따뜻해질 수 있도록 보건복지 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국민과 국회의 신뢰를 얻는 복지부 장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